3M과 함께하는 임상강좌 (2)
박성호 연세치대 교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base의 사용
접착제가 중합수축의 stress에 저항하지 못할 경우에는 복합레진과 와동에서 간극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변연보다는 와동 내부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구치부 복합레진 수복 후 저작에 대한 민감성을 보이는 환자가 가끔 있는데, 이러한 영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림 3). 또 다른 문제가 교두변위(cuspal deflection) 현상입니다. 즉 중합수축의 힘에 의하여 협측교두와 설측교두간의 거리가 좁혀지는 현상으로 2급 와동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림 4). 이러한 현상은 복합레진을 나누어 충전할수록, 사용하는 복합레진의 양이 적을수록 적게 나타납니다(그림 5).
만약 구치부에 복합레진 충전 후 시린 증상이 발생했다면 먼저 교합이 높지 않은지 먼저 살펴봅니다. 수복물이 높지 않다면 내부 와동에서 문제가 생긴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일단 복합레진을 제거한 후, 임시충전재 또는 글라스아이노머 등으로 충전한 후 예후를 관찰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호전되며, 이것이 확인되면 다시 복합레진 충전을 합니다.
<다음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