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근단공의 위치
A :근첨보다 짧은 치근의 근심이나 원심에서 개구
B : 근첨에서 개구
C : 근첨보다 짧은 협측이나 설측에서 개구
치아별 Anatomy 중에서 특징적인 부분만 살펴보면
상악 중절치
:
상악 측절치
: 원심, 구개측으로의 치근단 만곡
상악 견치
: 치아가 너무 길어 적절한 기구 조작이 어렵다.
: 대개 치근단 2 ~ 3mm 부위에서 만곡이 존재한다.
상악 제 1소구치
: 50~90% 정도 두 개의 근관을 갖는다.
: 0.5~5% 정도 세 개의 근관을 갖는다.
상악 제 2소구치
: 20~45% 정도 두 개의 근관을 갖는다.
: 0.3~1% 정도 세 개의 근관을 갖는다.
: 가장 다양한 해부학적 형태 변화를 가진다.
상악 제 1대구치
: Palatal root는 대개 협측으로 만곡을 보인다.
: MB root는 대부분 2개의 근관을 갖는다.
MB 2 canals : 발현빈도 40 ~ 95%
MB 3 canals : 발현빈도 0.5 ~ 2%
MB2의 위치 : MB2의 위치는 MB1 입구에서 평균 1.82mm 구개측에 위치(Kulild & Peters)
일반적인 와동 형성시 54% 정도 MB2를 찾을 수 있다.
추가로 Bur 사용하여 dentin shelf을 제거할 경우 31% 정도 더 찾을 수 있다.
이 말은 우리가 조금만 노력하면 85% 정도의 MB2를 찾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에 현미경을 사용한다면 10% 정도 추가로 발견할 수 있다.
DB 2 canals : 발현빈도 1.5 ~ 17%
PC 2 canals : 발현빈도 1 ~ 33%
상악 제 2대구치
: MB2 위치가 6번에 비해 덜 근심쪽에 위치한다.
MB 2 canals : 발현빈도 5 ~ 50%
MB 3 canals : 발현빈도 0 ~ 4%
PC 2 canals : 발현빈도 0 ~ 2%
: 종종 1 ~ 2개의 근관을 가지기도 한다.
최성백 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보존과 수련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석, 박사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객원교수
·대한근관치료학회 평생교육이사
·파스텔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