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근관치료의 기본 원리(19면)

관리자 기자  2011.03.24 00:00:00

기사프린트

하악 제 2대구치
1 ~ 2개의 근관도 존재한다.
근심 근관 : 21 ~ 57% 두 개의 근관을 갖는다.
근심 근관 : 0 ~ 2% 세 개의 근관을 갖는다.
원심 근관 : 1 ~ 4% 두 개의 근관을 갖는다.
원심 근관 : 1 ~ 2.5% 세 개의 근관을 갖는다.


C-shaped Canal
1979년 처음 보고되었으며, 인종별로 발현 정도에 차이가 있다.
한국인 : 33%(Seo MS 2004), 44.5%(Jin 2006 by CT)
일본인 : 32%
중국인 : 32%

  

주로 하악 제 2 대구치에서 관찰되지만,
하악 제 1, 3 대구치, 상악 제 1, 2 대구치, 하악 제 1 소구치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형태학적, 방사선학적으로 분류를 해보면 다음과 같다.

  


최성백 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보존과 수련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석, 박사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객원교수
·대한근관치료학회 평생교육이사
·파스텔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