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병원 쏠림현상 ‘심각’
외래 진료비 규모·점유율 계속 증가
상급종합병원의 외래 진료비 규모와 외래진료비에 대한 점유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등 대형병원 쏠림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지난 2005년에서 2009년간 요양기관 종별 요양급여비용을 분석한 결과, 2009년도의 경우 44개 상급종합병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총 6조2천6백4억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21.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도에는 19.8%를 차지하던 비율이 2006년 20.4%, 2007년 20.8%, 2008년 20.9%에서 지난해 21.8%로 높아졌다.
특히 이 기간동안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비 연평균 증가율은 15.6%로 요양병원 70.1%, 병원 19.3% 등에 비해 높지 않았지만, 진료비 규모에 있어서는 점유율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입원·외래의 진료형태에 따른 분석에서는 의료기관 전체의 외래·입원 진료비 중 외래진료비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외래진료비에도 상급종합병원 외래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졌다.
전체 외래진료비에 대한 의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외래진료비 비중은 2005~2009년 기간동안 점차 증가했으나 의원의 외래진료비 점유율은 감소했다.
특히 전체 외래진료비에 대한 상급종합병원과 의원의 진료비 점유율은 증가와 감소 경향이 뚜렷해 상급종합병원의 점유율은 2005년 10.7%에서 2009년에는 14.1%로 크게 증가한 반면 의원의 점유율은 2005년 52.5%에서 2009년 47.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입원·외래 진료비 중 외래진료비 비중이 2005년 34.2%에서 2006년 36.8%로 증가해 종합병원급 이하 의료기관의 외래비중이 감소하는 것과는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의원급 외래에서 진료가 가능한 대표적인 상병을 지닌 환자들의 상당수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를 기준으로 할 때 의원급 외래에서 진료가 가능한 대표적 질환인 상기도 감염이나 하기도 감염에 속하는 질환의 약 15%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진료가 이뤄지고 있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