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 진료 이해 높이겠다”
인터뷰
서봉직 (가칭)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 신임 회장
지난달 19일 열린 (가칭)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 정기총회에서는 서봉직 교수(전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가 신임회장으로 선출됐다. 서 신임회장에게 턱관절 교육 프로그램 강화 등 전반적인 학회 운영 방향 및 전망을 들어봤다.
“개원의를 위한 프로그램 진행 및 만성질환인 턱관절 장애에 대한 진료 이해도를 높이는데 주력할 예정입니다.”
지난달 19일 열린 (가칭)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회장 서봉직·이하 학회) 정기총회에서 신임회장으로 선출된 서봉직 교수(전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는 향후 학회 운영과 관련 이 같은 의지를 피력했다.
서 신임회장은 특히 최근 2년에 걸쳐 ‘턱관절장애의 진단, 치료에서 보험청구까지’라는 주제로 개최한 연수회 시리즈에 대해 개원의들의 관심이 높았던 것을 예로 들며, “다양한 연자들을 사전에 섭외하고 발굴, 연자층을 두텁게 하는 한편 수도권 뿐 아니라 지역에서 발현되는 자발적인 학술 모임들도 지원하고 연대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지역 학술활동 활성화와 관련해서는 “턱관절 질환은 만성이기 때문에 일회성 세미나로는 이를 온전히 습득하기 어렵다”며 “부산, 광주 등을 중심으로 지역 임상가들이 공부하는 모임을 결성하면 학회 차원에서 이와 상호 교류하는 방식을 토대로 지방의 턱관절 학술열기를 고양시켜 나가겠다”는 계획을 소개했다.
다만 서 회장은 실전 술기만을 중심으로 한 학회 활동에 대해서는 이를 경계한다고 선을 그었다.
서 회장은 “턱관절 장애는 기존 치과에서의 진료와는 속성이 다른 측면이 있다. 우선 질환의 실체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라며 “특히 턱관절 장애는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면서 술기를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소신의 연장선상에서 그는 “현재 학회에 200여명 남짓한 회원들이 있지만 무조건 회원을 늘리기 보다는 우선 보존적, 비가역적 치료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는 우리 학회의 철학에 동의하는 치과의사들을 중심으로, 턱관절 질환에 대한 연구 활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에 대해서는 “우리 학회와는 ‘순망치한’과 같은 관계”라며 “우리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보다 긴밀하게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학회가 중점을 두고 있는 국제 교류 활동과 관련,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아시아두개하악장애학회(AACMD) 뿐 아니라 4년마다 열리는 ‘International Congress of Or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ICOT)’ 등에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고 서 회장은 밝혔다.
끝으로 서 회장은 “삶의 질 향상이 강조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턱관절 질환의 유병률이 차츰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치과의사들의 역할도 크게 증대될 것으로 본다”며 “턱관절 진료를 하지 않는 일반 개원의들도 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할 시점이 됐으며 아울러 TMD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개원의들의 경우 지금부터 이에 대해 철저히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