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Canal Irrigation(근관 세척) (32면)

관리자 기자  2011.04.11 00:00:00

기사프린트

이를 예방하기 위해 가급적이면 Luer-lock syringe를 사용하거나 안된다면 needle tip을 syringe에 꽉 끼워 사용해야 한다.


그 외에도 근단부까지 NaOCl을 잘 적용시키기 위한 기구나 재료들이 최근 많이 개발되었다.
초음파나 음파를 이용하여 근관 세정에 도움을 주는 기구도 있고, 근단부까지 NaOCl을 적용할 수 있는 기구도 소개되고 있다.


4. Chlorohexidine
근관 치료 후 치유가 일어나지 않거나 재치료가 필요한 치아를 보면 E. faecalis라는 세균이 발견된다.
E. faecalis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NaOCl과는 별도로 Chlorhexidine(CHX)의 사용을 권장하는 연구가 많다.
이는 광범위한 항균작용을 가지며 작용이 지속적이고 독성이 거의 없다.
2% CHX은 5.25% NaOCl과 비슷한 항균 작용을 하며, E. faecalis에 더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CHX은 괴사 조직을 용해시킬 수 없고 도말층을 제거할 수도 없다.
NaOCl과 CHX은 세균 제거에 서로 상승 작용을 가진다. 그러나 CHX과 NaOCl의 조합은 붉은색의 침전물을 형성하며, Para-chloroaniline(PCA)은 독성/암유발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NaOCl만으로도 E. faecalis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Smear Layer(도말층) 제거

  

도말층이란 기구 조작으로 인해 근관벽에 형성되는 무정형의 layer(2~5㎛ 정도의 두께)로 Grouded dentine, Predentine, Pulpal remnants, Odontoblast processes, Bacteria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관벽에 부착하여 상아세관 입구를 막아 약제가 더 깊은 곳까지 침투하는 것을 막고 충전제가 근관벽에 부착하는 것을 방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충전 직전 근관을 EDTA로 soaking 해줌으로써 lateral canal 등이 sealer로 충전되기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도말층이 상아세관의 입구를 막고 있기 때문에 도말층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제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제로는 EDTA가 있다.
임상에서는 주로 17%를 사용하며 EDTA는 Chelating agent로 상아질 연화 작용이 있으며, 윤활작용도 있다.
그러나 Bactericidal, dissolving effect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NaOCl을 사용해야 한다.
Rc-Prep(EDTA+urea peroxide), Glyde(EDTA+carbamide peroxide)가 임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수용성 EDTA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최성백 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보존과 수련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석, 박사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객원교수
·대한근관치료학회 평생교육이사
·파스텔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