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용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연조직 및 골괴사 : 부골, 치아 상실 신경 손상
알러지 반응 : 혈관 신경종성 부종, 천식, 과민성 쇼크의 전구 증상
불완전한 치수 실활 : 짧은 도포기간, 적은 양 사용, 농도 상실(용기의 잦은 개방)
급성 동통 : hapten으로 치근단 조직의 면역반응으로 간주
(Hulsmann, M: zm 86:338∼345, 1996)
굳이 사용을 해야 하는 경우 다음의 사항을 지키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사용양을 최소화해야 한다. Pulp chamber에 채우는 것보다는 Orifice 위에 소량을 사용하도록 한다.
2. 치근단이 불완전하게 형성되어 치근첨이 넓은 경우에는 절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3. Complete Sealing이 확실한지 반드시 확인하도록 한다.
4. 반드시 7 ~ 10일 후에 재 내원시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조도가 의심스러운 경우라면 사용하시지 않는 것이 좋겠다.
4. MTA
근관치료를 하면서 일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것 중에 하나가 perforation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perforation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한 석회화로 인해 근관의 입구를 찾다가 furcation perforation을 유발시키거나,
access 방향이 틀려서 측방으로 천공을 시키는 경우, 과도한 post preparation으로 인한 측방 천공, 대구치 만곡근관에서 치경부의 straight line access 과정 중에 천공을 유발시킨다.
바람직한 치근 천공의 처치법으로는 천공 즉시 조직액에 용해되지 않으면서도 생체적합성 물질로 천공 부위를 메꾸고 주변 생체조직이 재생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같은 목적으로 1993년 Loma Linda 대학의 Torabinejad 등에 의해 개발된 MTA는 효과적인 봉쇄 능력과, 백악질과 치주인대의 재생 촉진 및 수분 존재 하에서도 경화가 큰 영향을 받지 않아 치근 천공 처치 시 매우 유리하다.
일단 천공이 발생한 부위를 NaOCl로 세척하고, 다시 0.12% CHX 용액으로 세척한다.
이후 멸균된 paper point로 건조시킨다.
그리고 나서 MTA를 혼합하여 적용시킨다.
그 위에 젖은 면구를 두어 MTA의 경화가 일어나도록 한다.
Indication
1. Perforation repair
2. Apixification(apical plug)
그 외에도 Pulp capping, Root-end filling material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MTA의 장점
생체친화적이다.
밀폐능력이 뛰어나다.
항균효과
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다.
광화조직(mineralized tissue)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치주인대의 재생을 돕는다
MTA에도 한계점
1. 조작이 어렵다.
2. 작업시간이 짧다(4분 이내)
3. 경화시간이 길다(연구에 의하면 75분 ~ 72시간)
: 느린 경화로 물성의 변화가 생길수도 있고, 세척액에 의해 MTA가 씻겨 나갈 우려도 있다.
경화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른 용액을 이용하여 혼합한 결과 약간의 단축은 있었지만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치아를 변색시킨다. 따라서 전치부에 적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5. 극소량이지만 독성물질을 함유한다.
6. 경화된 다음엔 제거하기가 힘들다
: 최근 국내제품으로 Ortho-MTA가 개발되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이 또한 제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한 성형과 세정 없이 사용될 경우 재근관치료를 하지 못하고 수술이나 발치를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고려하는 것이 좋다.
7. 비싼 재료비용
: 최근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순금 한돈 3.75g의 가격이 18만원이다. 이에 비해 MTA의 정가는 2g에 18만원이다. 금보다 비싼 재료이다.
8. 혈액에 의한 오염
: MTA를 혈액에 노출시킨 결과 압축강도와 표면 미세경도가 현저히 감소했으며, 표면의 미세구조도 변화되었다. 그러므로 임상 적용시 어느 정도 bleeding control이 필요하다.
9. 조작
: MTA 를 적용할 때 condensation pressure가 강할수록 표면경도나 압축강도는 감소한다. 이는 condensation pressure가 강하면 결정과 결정간의 물이 들어갈 공간이 작아져 결과적으로 결합강도를 낮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MTA를 적용할 때 가능한 적은 condensation pressure를 가하는 것을 추천된다.
10. 보관 온도
: 냉장 보관을 하면 표면경도가 유의성 있게 낮아지고 표면에 기포도 더 많이 생긴다. 실온 보관을 하도록 한다.
최성백 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보존과 수련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석, 박사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객원교수
·대한근관치료학회 평생교육이사
·파스텔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