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Intracanal medication(근관 약제)(20면)

관리자 기자  2011.04.14 00:00:00

기사프린트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Intracanal medication(근관 약제)

  

<1926호에 이어 계속>


File을 이용한 Bio-mechanical 방법에 의해 죽이지 못한 세균을 control하고, 특히 상아세관이나 작은 측방근관과 같이 기구 도달이 잘 안 되는 부분에 남아있는 균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치료 사이의 기간에 약제를 사용함으로써 근관이 재 감염되거나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약제가 충분히 확산되어야 하고 근관 내에서 약효 지속시간이 충분히 길어야 한다. 

  

사용되는 약제

  

1. Formocresol(FC)
Formaldehyde 성분은 19~37%
Cresol 30%
Water & glycerin 46%

Mutagenic Potential, Carcinogenic Potential, 분명한 독성과 조직 파괴 효과, 등을 고려할 때 근관 치료를 위해 살균제로서 굳이  FC를 선택해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지혈을 돕고 조직 표면을 응고 괴사시키기 때문에 응급 치수 절단술시에 사용될 수 있다.
약간의 진통 작용도 있는 듯하다.


2. 수산화칼슘
1920년 Hermann에 의해 근관 치료에 도입되었다.

  

역할
1. 높은 알카리성(pH 12)을 가지고 있으므로 염증 부산물에 의해 낮아진 조직의 pH를 높여준다.
2. 치근단의 경조직 침착을 유도한다.
3.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진다.
4. 지속적인 염증이 있거나 삼출물이 계속해서 스며 나오는 경우(weeping canals)
5. 감염된 치수 조직을 용해시킨다.
단순한 근관 내 약제로 사용시 1~2주 정도 적용하며, Apexification 목적인 경우 2~3개월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적용범위
1. 치근단 형성술(apexification)
2. 실제 치근단공의 정확한 위치 파악
3. 치근의 내흡수나 파절선 등 불규칙한 근관 형태를 미리 파악
4. 치근 천공 등의 치료
5. 치근의 외흡수 치료

  

건강한 치근단 조직의 치아나 하치조 신경이 가까운 경우에서는 절대로 치근단공 밖으로 압출되지 않도록 한다.
수산화칼슘의 강한 알칼리성은 정상적인 조직에 강한 부식효과(caustic effect)를 나타내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부위
상악 대구치 : 상악동 부위
하악 대구치 : 하치조 신경관, 이공 부위

  

Aqueous type(Liquid) : 일주일 이내의 근관내 작용 - Calcipex, Well Paste
Viscous type(Glycerine) : 2~3개월 정도 적용 - Metapaste
Oily type(Silicone oil) : long-term follow up - Vitapex, Diapex, Metapex, Well-Pex


3. Depulpin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근관치료 약제 중에 우리나라 치과의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제 중 하나이지 않을까 싶다.
임상에서 불충분한 마취, 다음 내원시 통증 조절을 위해 개원가에서 Depulpin이 많이 사용되고있다.
성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있다.
Lidocaine hydrochloride 38%
Paraformaldehyde 49%(Cytotoxicity, Mutagenecity, Carcinogenecity)
Chlorothymol 2%
Clove oil 5%
Prussian balsam 3%
Others 3%

  

그러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Depulpin이 치아 내에 존재하지 않고 인접면 우식 부위로 나오게 되는 미세누출이 있는 경우 주변 골조직의 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Pulpal floor에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다수의 accessory canal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미세한 근관을 따라 치근 이개부 부위에 영향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