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토베 요시히코(Yoshihiko Mutobe) 오사카 시·무토베 덴탈 클리닉
자연치에서 배우는 고도의 심미수복치료 성공의 열쇠 <끝>
<1926호에 이어 계속>
모형상에서 시뮬레이션 한 좌측 중절치 근심면의 삭제량을 안면 정중선(가이드라인으로써 플로스를 사용)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삭제하고(사진 17), 형태적 좌우 대칭성을 고려한 템퍼러리 크라운을 장착한다(사진 18).
좌측 중절치는 내측 염전되어 있던 것에 의해 변연치은이 좌측 자연치보다 근첨 측에 있음으로써, 장착하는 템퍼러리 크라운의 순측 subgingival contour는 concave 형태로 하고, 순측 supragingival contour는 반대측 자연치에 기준하는 것으로 변연치은의 치관측으로의 Creeping을 기대함과 동시에, 근심 치경부의 subgingival contour를 약간 convex 형태로 조정하여 치간유두의 재건도 시도하였다(사진 19).
사진 20은 템퍼러리 크라운 장착 1주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우측 중절치의 염전에 의해 치근의 근원심적 폭경이 비대칭이며, 거의 Scallope form의 대칭성이 생겨 치간유두도 재건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의 모형상에서, 표면 성상이 좋은 경질 레진을 사용한 Provisional restoration을 제작한다(사진 21).
체어사이드에서 조정한 템퍼러리 크라운의 subgingival contour, supragingival contour를 참고하고, 이것 또한 치과의사 스스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여기에는 형태 재현 (표면성상부여) 능력과 비색 능력이 동시에 요구된다. 새롭게 제작된 Provisional restoration을 장착하고, 치주조직의 안정을 도모한다(사진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