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측방가압 근관충전
<1928호에 이어 계속>
성공적인 근관 치료를 위해서는 근관의 세정 및 성형 과정을 통해 치수 조직과 잔존 유기물질, bacteria, bacteria의 부산물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근관 내의 모든 bacteria를 제거할 수는 없다.
따라서 근관 충전을 통해 이차적인 목적을 달성 해야 하는데 근관 내에 남아있는 오염 물질들과 bacteria가 치근단 조직으로 빠져 나와 병소로 진행하지 않도록 밀폐하는 것이다.
이것이 근관 충전이다.
근관충전재료는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gutta-percha와 sealer를 이용한 근관충전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A.A.E.(미국 근관치료학회)에서도 근관충전을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리고 있다.
가능한 한 상아-백아 경계부(CEJ)에 근접하게 전 근관을 3차원적으로 충전하며 적절한 치근단 폐쇄를 위해 충전 물질과 최소한의 sealer가 사용되야 한다.
그럼 근관충전은 언제 해야 하는가?
근관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1. 치아는 증상이 없어야 한다.
: 약간의 타진 반응은 존재할 수 있다.
2. 근관은 건조되어야 한다.
: 계속적으로 exudate가 나오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수산화칼슘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3. Bleeding이 되어서는 안된다.
: 치수조직이 남아 있는 경우라면 MAF를 재설정하고 근관장이 over 된 경우라면, 근관장을 다시 측정하고 MAF를 재설정해주어야 한다.
4. Foul odor가 없어야 한다.
: 인접면 우식을 제거하지 않고 근관치료를 하는 경우 근관내로 재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5. 임시 가봉재는 intact해야 한다.
: 임시 가봉재가 닳거나 너무 얇게 존재하는 경우에 재감염 가능성이 있다.
증상이 있는 Pulp Necrosis나 Acute Periradicular Abscess 처럼 부종과 심한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 1-visit endodontic treatment는 피하도록 한다.
또한 해부학적 다양성을 띄고 있거나 isthmus가 존재하는 경우 NaOCl 적용시간이 부족할 경우라면 다음 내원시 근관 충전을 하는 것이 좋겠다.
근관충전을 할 때 고형성분의 Gutta-percha로만 메꿀 수 있다면 좋겠지만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미세한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실러를 사용해서 좀 더 나은 밀폐효과를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
Sealer의 역할
Primary cone과 근관의 binding agent의 역할
근관벽과 cone 사이의 discrepancies를 위한 filler
Primary cone이 근관에 쉽게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
충전물을 하나로 모으는 응집력도 함께 가져야 한다.
Sealer의 종류
ZOE 계열 sealer : Tubliseal, ZOB Seal
수산화칼슘 sealer : Sealapex, Apexit
Polymer : AH26, AH plus, AH plus Jet, Diaket, ADSEAL
GI cement sealer : Ketac-endo
Formaldehyde를 포함한 sealer
Apical clearing
육안적으로 치근단의 apical stop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또한 근단부에 축적된 삭제편을 제거할 수 있는 과정이다.
반드시 근관이 건조된 상태에서 시행한다.
Paper point로 근관 내를 건조시킨 다음 MAF를 근관장만큼 넣고 반바퀴를 돌린다.
파일을 제거한 후 파일 끝에 묻어나온 삭편을 거즈에 닦아 그 내용과 색을 관찰한다.
Apical clearing의 의의
1. 충전 직전에 근관의 길이를 마지막으로 재확인한다.
2. 치근단 근관을 청소해준다.
3. 마지막으로 근관을 조금 더 확대한다.
측방가압 근관충전의 순서
1. MAF와 같은 크기의 master cone을 선택하여 근관 내에 잘 맞는지 확인하다. 이 때 근단부에서 살짝 물리도록 한다.
2. Master cone이 근관장까지 잘 도달했는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다.
3. Master cone을 NaOCl에 1분 정도 담궈 소독을 한다.
4. Sealer를 근관 내부에 도포한다.(먼저 도포해도 되고, master cone에 도포해도 된다.)
5. master cone을 근관 내에 적용한다.
6. Spreader를 적용하여, 근관벽과 master cone 사이에 accessory cone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한다.
7. Spreader의 삽입 방향은 만곡 바깥쪽으로 넣어야 한다.
8. spreader가 제거된 공간에 accessory cone을 넣는다.
9. 다시 spreader로 공간을 확보한다.
10. 이러한 과정을 spreader가 3mm 정도 상방에서 더 이상 안들어갈 때까지 반복한다.
11. heat carrier를 이용하여 gutta percha를 제거한다.
Accessory cone은 제조회사마다 다양하게 존재한다.
두꺼운 Accessory cone을 넣으면 coronal 부분은 빨리 채울 수 있지만 근단부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32면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