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Core 단면적 : Cross cutting된 단면적이 작은 file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다.: 대개 삼각형 단면을 가진 RaCe나 TF가 부드러운 것 같다.
그림에서 처럼 단면적이 넓은 file일수록 잘 안부러진다.(가장 단면적이 큰 K3)
그렇지만 너무 Stiff해서 만곡근관을 잘 따라 들어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단면적이 작은 file 일수록 만곡근관을 잘 따라 들어가겠지만?부러질 가능성은 더 높다.
동전의 양면성과 같은 상황으로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는 file은 아직까지는?없는 듯하다.
4) Cutting Blade : Active Cutting Blade - 근관 만곡을 직선화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시 한 곳에 머무르고 있지 않도록 한다.
만곡이 있는 근관에서는 Passive Cutting Blad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Profile, GT, LSX)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file들의 조합이다.
모든 크기의 file을 가지는 군은 LSX, Liberator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회사에서 NiTi file을 제조할 때 모든 크기의 file을 만들지는 않는데, 이는 file의 종류를 줄여 좀 더 간편화함으로써 판매를 촉진하기 위함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apical size에 맞는 file을 선택해야지, file에 Apical size를 맞추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여러 종류의 file을 갖추고 적절한 크기의 apical size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종류의 NiTi file만으로 모든 근관을 성형하기는 부족한 건 사실이다.
필요에 의해 두 개 내지는 세 종류의 file 조합이 필요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너무 한 가지 file만을 고집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
현재 국내에 시판되고 있거나 소개된 File들은 대략 15 여종이 있는데 많은 선생님들께서 각각의 Ni-Ti file 특성을 고려하여 구매를 하고 사용을 하지만, 주변의 선, 후배, 동기분들의 소개나 재료 회사의 홍보전략 등에 의해서 구매를 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럴 때 ‘내가 사용할 File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구나’ 라고 알고 있다면 file의 선택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최성백 원장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보존과 수련
·경희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석, 박사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객원교수
·대한근관치료학회 평생교육이사
·파스텔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