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Ni-Ti file (18면)

관리자 기자  2011.04.28 00:00:00

기사프린트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Ni-Ti file

  

근관치료의 발전에 한 계기가 된 Ni-Ti file은 1960년대 초 W.F. Buehler에 의해 특정한 범위의 온도에서 조절된 열처리 과정을 거치면 형상 기억 효과가 있으며,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변형되기 전의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는 초탄성을 가지는 NiTinol의 발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최근에는 수십 종류의 Ni-Ti file이 제조되어 소개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Ni-Ti file을 언제 어떻게 쓰면 좋을까?


예를 들면 좁은 근관인 상악 대구치 MB1, MB2, DB이나, 하악 대구치 MB, ML, DL의 경우 어떤 종류의?Ni-Ti file를 사용할 것인지, 어떤 Taper와 어느 정도의 Apical Size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고민을 하게 된다.


Ni-Ti file들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면 선택에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이 된다.
File의 특성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지만 중요한 부분만 간략하게 나열해 보면,

  

1. Taper


1) Constant Taper : File에 하나의 Taper를 가지는 경우로 대부분의 file이 여기에 속한다.(.02, .04, .06 taper).
예를 들면 나사못과 유사하기 때문에 Screw-In Effect가 나타나게 된다.

  

2) Variable Taper(ProTaper) : 한 file에 다양한 Taper를 가지는 file이다.
이는 file과 근관벽 사이의 접촉면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file이 받는 stress를 줄이고 각 file 마다 각기 다른 부위를 삭제하도록 고안되었다.


2. Pitch

  

1) Constant Pitch(Profile) : 이론상으로는 근관내로 빨려 들어가는 성질이 강하지만, 실제로 Profile이 Constant Pitch를 가지고는 있지만 그리 심하게 말려 들어가지는 않는데 이는 radial land가 있음으로 인해 심하게 빨려 들어가지 않는 경향인 듯하다.
Pitch 간격이 촘촘한 경우에도 Screw-In Effect가 강하게 나타난다.

  

2) Variable Pitch : Screw-In Effect를 최소화시키며 잔사 제거에도 유리하며, 대부분의 file들이 여기에 속한다.그러나 Active Cutting Blade는 그 자체로도 Screw-In Effect가 강하기 때문에 사용시 근관내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잘 잡아 채는 것이 중요하다.


3. Radial Land(ProFile, GT, K3, LSX)

  

Radial Land는 근관벽에 끼어 들어가는 경향을 감소시켜 Screw-In Effect를 감소시킨다.또한 radial land는 기구가 근관 중앙에 오도록 하는 역할을 해서 Transportation이 적도록 해주며, 기구 뒤틀림과 회전에 대한 저항이 크다.


그러나 Radial Land가 있는 File들을 사용할 때에는 Paste Type EDTA를 사용 안하는 것이 좋은데, EDTA와 삭제된 상아질편이 엉겨서 Flute 내에 쌓이게 되면 오히려 file에 stress를 증가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Paste Type EDTA는 Active Cutting Blade를 가진 file에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다.또한 Radial Land가 있는 경우 근관벽과의 마찰로 smear layer 제거를 방해하기도 한다.


4. Cutting Blade

  

현재 NiTi file을 삭제력에 따라 분류를 하면 Active Cutting Blade와 Passive Cutting Blade로 분류할 수 있다.


Passive Cutting Blade로 분류되는 file들은 Radial Land가 있는 file들이다.Passive Cutting Blade : Profile, GT, LSXActive Cutting Blade : ProTaper, Mtwo, K3, RaCe, Hero, Revo-S, Flexmaster, TF etc.


앞에서 살펴보듯이 다양한 특성을 가진 많은 종류의 Ni-Ti file들이 소개되고 있다.


모든 근관을 한 종류의 Ni-Ti file로 성형하는 것보다는 근관의 길이나 만곡, 치근의 부위에 따라 적절한 Ni-Ti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I. 직선근관이나 Coronal & Middle 1/3
: 빠르고 절삭력이 좋은 Active Cutting Blade File을 사용한다.
: 어떤 file을 써도 무난할 것 같다.

  

II. 만곡근관이나 Apical 1/3
: File의 flexibility가 좋고(작은 단면적) transportation(Radial Land가 있는 file)이 적게 일어나야 한다.

  

1) File Size : file size가 작은 것이 유리하겠지만, 너무 작으면 근관 성형이 부족할 수 있다.: 이런 경우라면 Taper를 줄여서 Tip size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좋을 것 같다.

  

예를 들어 30/.06까지 성형을 한 경우 다음 file인 35/.06이 들어가지 않을 경우, 30/.06으로 마무리 하는 것보다는 35/.04를 사용하면 의외로 쉽게 들어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2) Taper : .06 보다는 .04 Taper가 좀 더 근관벽에 과도하게 물리는 양상을 줄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02 Taper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경우, 근관충전이 조금 까다로워지기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