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 “치주질환 위험 높다”
고려대 안산병원 연구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치주질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연구결과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수면장애센터 신 철 교수 연구팀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치주질환 발병률이 2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이 안산지역에 거주하는 남녀 4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는 일반인보다 치주낭 탐침 깊이가 3.58배 깊게 나타나는 등 치주질환 발병율이 작게는 2배에서 크게는 11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면무호흡 환자는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치태 등의 부착 정도를 나타내는 ‘임상부착수준’도 일반인보다 1.75배 가량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55세 이상에서는 수면무호흡 환자들이 일반인에 비해 5~11배까지 치주낭 탐침 깊이가 깊고 임상부착수준도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고령 환자에게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치주낭 탐침 깊이로 볼 때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의 치주질환이 심각한 수준이며, 이로 인한 2차 감염 및 치아의 손상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신 철 교수는 “보통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입을 벌리고 수면을 취해 구강상태가 건조하고 세균의 침투를 받기 쉽다”며 “무호흡으로 인해 치주질환이 발생될 확률이 그만큼 높다”고 말했다.
전수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