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Continuous wave compaction(16면)

관리자 기자  2011.05.05 00:00:00

기사프린트

최성백 원장의 지상강좌

Continuous wave compaction


측방가압법만으로는 근관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해부학적 변이인 Fins, Webs, Cul-De-Sacs, Internal Resorption, C-Shaped Canal, Accessory, Lateral Canal 등을 잘 밀폐하기가 어렵다.
Warm Vertical Compaction(1967년 Schilder)의 변형이라고 볼 수 있는 Continuous Wave Compaction technique은 Buchanan이 소개하였다.
이를 위해 근관이 깔대기 모양으로 균일한 taper를 가져야 하며, 치근단 협착 부위가 있어야 한다. 또한 Master Cone이 적절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장점으로는 근관 cone fit이 좋을 때 뛰어난 근단 조절 능력을 보인다.
측방 또는 수직 가압 충전보다 좀 더 나은 근관충전을 보인다.
간편한 post preparation : down packing을 한 뒤에 근단부에 3~4mm 정도의 GP만 남겨두고 post preparation을 시행한다.
Compaction용 기구가 많이 필요 없다.
측방이나 수직 가압 충전보다 technique에 덜 민감하다. 측방이나 수직 가압 충전보다 시간이 적게 걸린다.

  

단점으로는 안전한 치근단 cone fit이 필요되며 충전용 기구와 plugger의 구매를 위한 초기 지출이 있다.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열원 자극에 대한 우려가 있는데 통상적으로 system B류를 사용할 때 적용시간이 4초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system B 및 Obtura 류는 최근 국산 제품이 출시되면서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System B에 장착하는 Buchanan plugger의 Tip Size는 0.5mm이며,#.06 - Fine#.08 - Fine Medium#.10 - Medium#.12 - Medium Large로 구성되어 있다.

  

근관장보다 3~4mm 짧게 들어갈 수 있는 plugger 중에 두꺼운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System B와 Obtura를 이용한 Continuous wave compaction technique 순서


Thermoplastic Injection Techniques

  

Obtura ll


Silver needle(20, 23, 25G)을 통해 Thermoplasticized GP를 근관 내에 주입할 수 있는 기구이다.
근관장에 대한 길이 조절 없이 이 기구만으로 충전을 시행하는 것은 Over or Under Extension이 될 수 있다.
위의 일련의 치료과정으로 근관충전을 마무리하게 된다.
여기서 하나 꼭 기억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모든 제품에는 공차라는 것이 있다.
금속 제품도 그렇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GP 또한 당연히 어느 정도에 오차를 가지고 있다.
Ni-Ti file로 잘 성형을 하고 GP를 근관장까지 적용을 했는데 cone-fit이 없거나 너무 짧게 들어가는 경우가 있게 된다.

  

근관성형을 했는데 GP가 근관장까지 안들어가거나, 근관장까지 들어갔는데도 불구하고 cone-fit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GP가 근관장까지 안들어간다면 들어갈 수 있도록 apical clearing 과정을 시행해보거나 했음에도 불구하고 GP가 들어가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GP를 선택해서 새로 맞추는 것이 좋다.

  

GP를 들어가기 위해서 무리하게 근관 성형을 하는 것은 오히려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근관장까지는 들어가는데 cone-fit이 없다면 선택한 GP를 1mm 단위씩 잘라가면서 근관장까지 들어가면서도 cone-fit을 얻을 nt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