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종호 교수의 지상강좌] 구강내 ramal block bone 채취법 및 장기적 예후(Ⅱ)

관리자 기자  2010.11.22 00:00:00

기사프린트

이종호 교수의 지상강좌

구강내 ramal block bone 채취법 및 장기적 예후(Ⅱ)

  

<1888호에 이어 계속>

  

C. 골이식을 위한 골 절단술 (그림 6, 7, 8)
i. External oblique ridge osteotomy(외사골절단술)
1. 작고 둥근 버로 이식될 골이식재의 윤곽을 표시한다. 하악골 외사선 약 3mm내측에서 시작하여 round bur를 이용하여 전방 제1대구치 원심부까지 연장한다.
2. 충분한 주수하에 외과용 또는 고속의 핸드피스에 부착된 작은 fissure bur로 구멍들을 연결한다. 이때 bur의 방향이 하악지외면에 평행하게 피질골을 관통시킨다.


  ii. 수직 골절단구 형성
1. 전방의 수직골절단구: 출혈이 될 때까지 제1대구치의 원심면에서 하악체쪽으로 주의깊게 점진적으로 형성한다. 피질골 바로 하방에 신경혈관다발이 있을수도 있으므로 주의깊게 시행한다. 수직 절단구 길이는 하치조신경위치와 필요한 이식체의 크기에 좌우된다.
2. 상방의 수직절단구: 하악의 측면에서 외사골단구에 수직으로 만들어진다(그림 9, 10).


iii. 하방 골절단술 : 이 부위에서는 접근성과 시야확보가 제한된다. 이 하방골절단구는 작은 round bur (no 4 또는 6)을 가지고 얕게 만들어져 파절선 역할을 한다. 이 하방골절단구는 하악관보다 상방에 있어야 하며, 직상방에 있어서는 안된다(그림 11).

  

iv. 이식편 제거
1. 작은 chisel이나 골을 분리시키는 splitting osteotomy 기구를 사용하여 external oblique osteotomy line의 전범위를 부드럽게 두드린다. 이 기구들은 하악지의 측방면에 평행해야 한다.
2. 조금 더 두꺼운 wedge chisel을 넣고, 이 chisel을 지레로 사용하여 하악지로부터 이식골편을 완전하게 떼어낸다(그림 12,13).
3. 이식골편이 신경혈관다발 하방에 위치한다면 신경혈관다발이 이식골편 내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 다음에 분리하도록 한다.
4. 이식골편은 사용될 때 까지 무균의 식염수에 담궈놓는다.
5. 이식골편을 제거한 후에 하악지 주위에 생긴 날카로운 부분들은 bur나 bone file로 부드럽게 해준다(그림 14).

  

D. 판막봉합
i. 골을 제거한 부위에 국소지혈제 (bone wax, Surgic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