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치과의료정책 토론회]“구강보건전담부서 확대 최우선”

  • 등록 2008.01.14 00:00:00
크게보기

■ 이흥수 원광치대 교수

 

구강보건전담부서의 존재는 국민의 구강건강상태를 좌우하는 만큼 반드시 부활, 확대돼야만 한다.
지난 75년 구강보건전담부서를 폐지하고 97년 보건국 산하에 구강보건과를 다시 설치했는데 전담부서가 없는 기간 치아우식증은 무려 5배나 증가했으며, 이후 구강보건전담부서를 설치, 10년이 지난 2006년 처음으로 치아우식이 줄었다는 것은 이를 반증한다. 
구강보건전담부서의 부활 시에는 전문성과 행정의 효율성 제고, 연계성 및 부서간 소통 강화 등을 위해 참여정부시절 한방정책관 이상의 조직이 필요하다.
그동안 구강보건은 학교, 모자, 노인, 장애, 영유아보건 등 보건 전 분야에 소부분으로 존재함과 동시에 치아우식증 관리, 수돗물불소조정사업 등 독자부분이 함께 공존해 행정의 효율성이 떨어져 왔다.


따라서 이같은 사업의 행정상 효율화를 꾀하고 집행부서 단위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단위의 부서에서 이를 종합, 기획, 조정해 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정부 내 가칭 ‘구강보건심의위원회’를 차관 밑에 설치, 차관이 위원장이 돼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연계성에 대한 조정과 종합 및 기획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아울러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복지부내 치과의사 수(최소 5인 이상)를 늘리고 구강보건전담부서에 일하는 치과의사를 최소한 2명 이상 배치해야 한다.
특히 복지부관련 공무원 교육 과정 중 구강보건에 대한 이해 및 행정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 현재보다 강화, 확대돼야만 한다.  강은정 기자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