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치아의 수복을 위하여 인공치아의 조건은 implant/abutment interface의 문제점의 극복과 함께 다양한 조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최근까지의 거론되는 external hex type의 경우 screw의 loosening의 결과는 long term에서 6~48%에 이르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미국의 경우 mean office adjustment cost는 환자의 한 번 방문 시 $106에 해당하며, 고작 환자한테 부과된 진료비는 16%에 불과하며 나머지 84%는 고스란히 치과의사의 지출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극복을 위하여 그동안 많은 인공치아의 변모를 가지고 왔지만 각 회사별 특성은 있으되 완전성을 보이고 있다고는 볼 수가 없다. 결국 지금까지 모든 인공치아의 modification등은 금속의 friction을 이용한 morse taper(8°~11°) 혹은 true morse taper(1.5~4°)로 변모되고 있으며, 단일치 회복 시 대체로 안정성을 보이는 결과를 주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true morse taper(1.5 ~2°)등은 prosthetic indexing feature가 없는 것이 단점이며, 8°의 more taper 역시 cone screw의 loosening 확률로 3.1%를 보이며 abutment screw 의 경우 8.7%를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향후 free single standing을 위한 더 많은 인공치아의 발전과 함께 향후에도 지속적인 다양성을 예고하고 있다.
인공치아의 이식 시 치조골의 흡수를 위한 예방과 심미적 처리를 위하여서는 발치 후 즉시 인공치아의 시술이 더욱 유리하다. 그러나 다수의 환자의 경우 상악의 단일치아수복을 위하여 치주질환과 함께 다양한 치조골의 소실 시 onlay bone graft, core bone graft from palate and symphysis, 혹은 mixed bone과 함께 각종 GBR technique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치조골의 손실의 경우 자연적인 치유가 기대되는 치조골의 파괴양상은 이러한 술식이 필요가 없다. 이러한 손실의 양을 굳이 lineameasurement로 측정한 통계치를 보면, 인공치아의 최상단으로부터 발치와의 협측부의 bone crest까지의 거리(jumping distance)는 1.5mm 이내일 때, 헙측부의 bone crest이 결손 즉, horizonral defect wdith는 3.0mm이내, horizontal bone defect depth 즉, 인공치아의 이식 후 인공치아와 bone과의 최초 접합되는 가장 깊은 곳까지의 거리는 약 5.0mm 일 경우 자연치유가 가능하다.
그러나 bone defect의 양상에 따른 각종 graft technique에 따라 인공치아와의 BIC%율 과 fBIC의 위치가 다르게 나타나며, 각종 materials의 종류와 membrane에 따라 다양한 치조골의 조직학적인 양상을 보인다. 그중 가장 신뢰할 수 있는 bone substitutes는 anorganic bovine bone으로 osteoclstic absorption보다는 osteoconduction effect에 의한 degradation 현상을 보여 가장오래동안 volume을 유지하며, camouflage의 역할을 하여 bone pattern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외 Biocera등은 new bone generation과 함께 osteoconduction을 일으키며, DFDB의 경우 조직학적인 현미경검사에서 다수의 많은 염증성 세포의 출현과 granulation tissue를 보이며, Becker의 실험에서 발치와의 골이식 후 new bone generation의 효과를 의심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어 선별적 선택이 중요하다. 또한, Cochran의 실험 중 비흡수성 membrane인 ePTFE와 골이식재의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로 soft tissue의 primary closure의 중요성을 인식시켰으며, membrane의 노출로 인한 더 많은 양의 골손실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악의 전치부 발치 후 즉시 인공치아의 이식 시 조직의 손상 없이 정확한 3-dimensional 입체적 구상에서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하여야 하며, 수직적 위치는 r/s border를 기준으로 골개조가 일어나는 위치와 일치 혹은 직하에 위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thin biotype의 연약한 연조직을 가지는 여성이 경우 심미적 처리를 위하여 좀 더 깊은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며, 인공치아의 특성에 따라 조건을 달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circumferential defect 부위는 자가골을 중심으로 enveloped bone graft technique로 시행할 때 임상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