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그 불쾌한 경험

2017.12.05 13:01:42

시론

병원으로 의사를 찾아오는 환자는 어딘가 아프거나 어딘가 불편하거나 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한다. 내원 당시 경험하고 있는 통증이 있는 경우, 과거에 경험했던 통증에 대하여 알고 싶은 경우, 통증이라고까지 말 하기는 애매하지만 뭔가 불편함이 있는 경우 등 환자가 병원을 찾는 이유는 다양하다. 병원에서 진단과 검사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찾고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나 그 해답을 환자가 납득할 수 없거나 환자의 기대와 다른 경우도 있다.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지나고 나니 만족스럽지 못하다거나, 다른 문제가 생겼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환자도 있다.

진료실에서 수 많은 환자들을 만나는 의사들은 만족스러운 진료와 치료를 받은 많은 환자들뿐만 아니라 불만족을 드러내는 환자들도 만나게 된다. 그 불만족의 시작이 어디부터인지 추적하려면 기억과 환자기록들을 되짚어가며 고민하게 된다. ‘어디부터 잘못 된 것인가?’, ‘잘못 된 것이 맞나?’, ‘내 진단이 잘못 되었나? 치료가 잘못 되었나? 그럴 리가 없다.’ 등 많은 생각이 잔뜩 찌푸린 환자의 얼굴을 배경으로 흘러 갈 지도 모른다.

‘통증(Pain)’에 대하여 국제통증학회(ISAP: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는 ‘실질적 또는 잠재적인 조직 손상 및 손상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쾌한 경험’이라고 정의했다.
통증은 말초적 자극 및 중추적 신경자극에 의해 모두 나타날 수 있다. 조직을 손상시키는 자극이 가해진 후 통증을 느끼게 되기까지 변환(transduction), 전달(transmission), 조절(modulation), 지각(perception)등 일련의 복잡한 전기적, 화학적 반응을 거치게 되며, 신경계에서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 의해 통증이 조절된다. 신경섬유와 신경핵뿐만 아니라 감각-식별 시스템, 동기-정서 시스템, 인지-평가 시스템 및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 등의 생리적 반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통증을 경험하기 전 통증을 조절하고 전달하는 인체의 시스템이 이처럼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다 보니 환자마다 통증에 대한 표현과 수용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환자가 ‘치과에서 치료 받고 나서 없던 증상이 생겼어요.’라는 주소를 호소하는 경우 환자의 말을 더욱 주의 깊게 듣게 된다. 나의 진료를 받은 경우, 같은 병원의 다른 치과의사의 진료를 받은 경우, 타 병원의 치과의사에게 진료를 받은 경우 등 환자의 과거 경험이 어떠했는지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도 맞춰가야 한다. 환자의 현재 증상이 어떤지 주의 깊게 다시 파악하고, 환자의 이전 치료를 직접 한 경우 환자의 증상이 이전 치료와 연관성이 있는지, 아니면 다른 이유로 별도로 발생한 것인지, 치료 과정 또는 결과로 경험할 수 있는 것인지를 잘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같은 병원의 타 치과의사의 진료를 받은 경우 해당 주치의와 깊이 상의 해 볼 필요가 있다. 환자의 기억이 완전하지 않을 수도 있고, 선행 치료에 대한 어떤 불만이 있을 수도 있으니 치료를 행한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타 병원의 치료에 대한 불만이나 남아있는 통증 등으로 내원한 경우 치과의사의 진료의뢰서에 치료과정 등이 자세히 적혀있으면 많은 도움이 되겠지만 그렇지 않고 환자의 말만 있는 경우 더욱 신중히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치과치료 자체를 두려워한다. 치과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긴장감을 더욱 불러일으키며 그로 인한 부작용 또한 생긴다. ‘아파서’가 아니라 ‘아플 까봐’ 잔뜩 몸에 힘을 주고 긴장 한 채 치료를 받는다면 긴장한 몸이 치료 후 집에 가서 욱신거리고 아플 수도 있다. 너무 긴장한 나머지 있는 힘껏 입을 크게 벌리고 치료를 받았다면 진료 후 입이 다물어지지 않거나 귀가 후 턱이 아프거나 관절잡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치과치료를 두려워하는 사람도 그 경험의 시간이 끝나면 긴장을 풀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는 사람들도 있고, 그런 사람들이 치료 후 ‘뭔가 이상하고 불편한’경험을 호소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치료 전 환자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과정과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증상에 대한 설명을 하고 치료 중이라도 환자가 힘들거나 불편하면 ‘왼손 들기’등의 표현을 하도록 알려주어 치료 과정 중 환자가 무리하여 치료받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치료 전 환자의 치아와 치주뿐만 아니라 턱관절, 구강점막 등을 잘 살펴 환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병적 징후는 없는지 미리 살피고, 발견된 사항에 대하여 환자에게 사전에 설명하는 것이 좋다.

인간의 몸은 치료 후 치유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다.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막연히 기다리기보다 치유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인지 그렇지 않은 다른 이유로 생긴 통증인지에 그 원인요소를 차근히 되짚어 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많은 환자를 보는 바쁜 과정 중 그럴만한 시간이 어디 있겠는가 할 수도 있으나, 환자의 통증 해결을 위한 노력은 임상가가 해야 할 중요한 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이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강수경 경희치대 구강내과 교수

강수경 경희치대 구강내과 교수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 대표전화 02-2024-9200 FAX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광고관리국 02-2024-9290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