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스캔 이미지 AI 자동분석 기술 인정

  • 등록 2025.02.19 21:13:51
크게보기

안장훈 교수 연구성과 ‘Bioengineering’ 게재
아인사이트 개발 분석 프로그램 정확성 입증

안장훈 교수(중앙대학교 광명병원 치과교정과) 연구팀이 교정 치료 목적으로 채득하는 구강 스캔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프로그램을 검증한 논문을 ‘Bioengineering(IF 3.8)’에 최근 게재했다.

윤종헌 교수(한양대학교)와 함께 연구를 진행한 해당 논문 제목은 ‘Automated measurements of tooth size and arch widths on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and scan images of plaster dental models’로, 논문 작성을 위해 ㈜아인사이트(www.ainsightortho.com)에서 개발한 AI model version 1.0 프로그램이 사용됐다.


‘AI model version 1.0’을 이용해 치아 크기, 치아 사이의 폭, 치열궁 길이 부조화의 양을 자동으로 계측한 결과와 두 명의 치과교정과 전문의가 계측한 계측 값을 비교, 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증명했다.


진단 목적으로 채득한 구강내 스캔 이미지를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사용해 안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Gold standard 값인 전문의가 계측한 계측 값과 프로그램이 계측한 값이 일치해야 하는데, 이 논문을 통해서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유용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작업이 완료된 것이다.


논문에서는 구강 스캔 영상에서 치아를 치은에서 분리하기 위해 Fixed radius nearest neighbor(FRNN) 기법을 사용했으며, 치아 이미지 위에서 기준점을 자동으로 찾기 위해 Decentralized CNN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안장훈 교수팀은 3차원 CBCT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검증하는 논문을 게재한데 이어 AI로 구강 스캔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동시에 검증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안장훈 교수는 “CBCT 및 스캔 영상 자동분석 프로그램은 앞으로 치과 및 치과교정과에서 환자 진단에 필요한 많은 치과 영상을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선 AI 활용 진단기술을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연구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수환 기자 parisien@dailydental.co.kr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