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창 회장
“의료 현장 불편 점검 선행돼야”
“한 나라의 대통령이라면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들을 한쪽으로만 판단하기보다 반대쪽 의견도 충분히 수렴해 보다 합리적으로 국정을 이끌어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최우창 충남지부 회장은 “특히 치과의료를 비롯해 보건의료정책을 추진할 때 시행 먼저 해놓고 안 되면 나중에 이렇게 저렇게 하면 된다는 식이 아닌, 처음 정책이 시행되기 전부터 현장의 불편사항 등을 면밀히 점검해 시행착오를 최소화 하는 일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실시된 영·유아 구강검진사업도 행정적인 서식이 복잡해 종합병원에 비해 행정력이 부족한 의원급은 사업 동참에 어려움이 적지 않다고 최 회장은 전했다.
“의사는 의료에 전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한 분야 전문가로서 인정받고 존경받을 때 사회에 대한 봉사도 자연스레 늘어날 것입니다.”
최 회장은 “이제는 전시·탁상 행정으로는 국민들에게 통하지 않는 시대”라면서 “일방적인 협조 요구를 지양하고 자연스레 따라올 수 있는 합리적인 정책 개발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
김종환 회장
“의약 단체 자율성 보장 최우선”
김종환 전북지부 회장은 ▲의약단체의 자율성 보장 ▲구강보건 전담부서 부활과 역할 강화 ▲의료보험수가의 현실화 ▲의료법 개악 철폐 ▲선택과 자율이 보장되는 의료보험제도 등을 차기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김 회장은 “세계적으로 의약단체의 자율성이 보장되고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해 치협도 자율징계권을 가지고 국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때가 됐다”며 “각 단체가 회원들의 현황을 잘 파악하고 있어 정부단체가 관리했을 때 보다 부조리와 병폐가 현저히 줄어들고 예방효과도 두드러질 것이다”고 피력했다.
또 김 회장은 “고령화사회에 들어서면서 구강건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구강건강이 곧 전신건강임을 인식하고 역할과 기능이 더욱 강화된 구강보건팀 부활이 조속히 실현돼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 회장은 “현 정권에서 논의된 의료법 개악을 철폐하고 현실에 맞고 자율성이 보장되는 의료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차기 정부에서는 의료보험 수가 현실화가 꼭 이뤄졌으면 한다”는 바람을 나타낸 김 회장은 “이제는 강제적으로 들었던 의료보험도 자율적인 선택이 존중되는 방향으로 바뀌었으면 한다”고 언급했다.
김정래 기자 KJL@kda.or.kr
박해균 회장
“의료인·국민 상생관계 조성을”
“차기 정부는 의사와 국민들의 신뢰관계가 다시 회복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을 세워줬으면 한다.”
박해균 전남지부 회장은 차기정부에 이같이 주문했다.
“어떤 후보가 대통령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과거에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는 원래 신뢰로 맺어져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10년, 15년 사이 의사집단을 이익만 추구하는 속물집단으로 매도하거나 환자를 속이는 집단으로 몰아붙이는 사회분위기가 팽배해진 것 같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향후 정부가 만들어야할 구체적 구강정책에 관해 박 회장은 “우리가 국민의 건강을 도우고 상생하기 위한 이익단체지 부도덕하고 목적만을 성취하려는 단체가 아니다”라고 운을 뗀 뒤 “노인틀니, 보철, 스케일링, 불소도포 등 보험을 합리적으로 확대했으면 한다. 한국사회는 이미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는데 노인들과 소외계층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런 진료들의 보험화가 되지 않고 있어 보험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또 “구강보건팀을 재설치 해야 한다. 모든 의학분야가 세분화되고 전문화되고 있는데 구강보건 분야만 퇴보하고 있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 치과대학을 의과대학으로 다시 편입시키는 것이 낫다”고 덧붙였다.
정일해 기자 jih@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