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 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 (21)

  • 등록 2003.06.16 00:00:00
크게보기

I-4. 현대의 치의학 - 2 생명공학의 발달과 치아매식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경이적으로 발전한 과학기술 중에 DNA의 재조합이나 세포핵융합기술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재조합하거나 재조합된 새로운 유전자를 세균등에 도입하여 필요한 물질을 다량으로 저렴하게 생산하여 우리의 삶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길을 열어가고 있다. 1953년 인간의 유전자가 DNA라는 것이 알려진 후 유전자의 해독을 위한 “Human genome project"가 마무리되어 현재는 대부분의 유전정보가 알려지게 되었다. 유전물질인 DNA와 RNA는 고분자화합물로 이의 합성은 생화학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를 이용한 복제는 자가증식에 의한 복제(Replication)에 의한 것이다. 아직은 실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앞으로 많은 연구를 통하여 우리 치과영역에서도 치배(Tooth germ)을 배양하여 결손치부분에 이식하여 성장하게 한다거나 유전적 장애와 이상에 대한 개선 더 이루어져 좀 더행복한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다. 치아매식(Implant)은 상실된 치아 위치의 치조골에 인공치근을 심은 뒤 인공치근에 연결기둥을 만들고 그 위에 보철물을 올리는 결손치아회복방법이다.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인공치아는 오래 전부터 여러가지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최근 인체 내에서 유해작용이 적고 치근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티타늄으로 제작된 인공치근이 개발된 이후 자연치아의 대체물로 인정받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치아매식은 치아회복을 위해 인접 치아의 손상이나 보철치료 후 지대치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줄일 수 있으며 의치를 장착하였을 경우에 올 수 있는 치조골의 흡수를 예방하기도 한다. 생명공학의 발전은 우리의 삶과 질을 또한 세계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암을 제압하고 노화를 방지하며, 불모의 사막을 결실이 많은 푸른 녹지로 만들고 아무리 사용해도 닳지 않는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어서 이 생명공학은 오늘의 인간이 안고 있는 에너지,식량,의료 등의 많은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있는 유일한 통로로 인식되고 있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