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51)]IV-1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치과기구-수술기구1 (Surgical Instrument)

  • 등록 2004.03.01 00:00:00
크게보기

 

치과수술은 크게 구강외 수술과 구강내 수술 그리고 이들이 합해진 수술로 나누어 지며 어떠한 경우라도 수술용기구는 철저한 소독을 하는 엄격한 무균법을 시행해야 한다


리스터(J. Lister)와 테리옹(O. Terrillon1844-1895)은  소독의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방부법과 무균법을 발전시켜 기구와, 상처나 수술부위, 술자 모두에게 소독을 하고 외과수술을 시행하였다. 


그중 리스터(J. Lister)는 파스퇴르가 발표한 와인의 발효와 부패에 관한 논문에서 힌트를 얻어 외과 수술과 수술 후 감염을 막기 위해 상처 부위와 수술장을 소독하는 소독의 개념을 최초로 도입했는데, 하수도 소독용으로 쓰이던 석탄산(carbolic acid)이 살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 석탄산을 사용해 1865년 8월 12일 골절환자를 수술해 성공했으며 수술장의 공기를 석탄산 스프레이로 정화했고, 상처 부위는 석탄산, 액상 레진, 파라핀으로 적신 8겹의 붕대로 밀봉하여 공기에 의한 감염을 예방하는 폐쇄적 드레싱(occlusive dressing)을 연구 발표하였다.


의료용 기구 또한 실생활에서 사용되던 기구를 축소하가나 개량한 것이 많으며 대게의 기구는 녹이 슬지 않는(Anti-rust) 재질, 잘 부러지지 않는 재질, 마모가 쉽지 않는 재질을 가져야 하는데 즉,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 특수한 금속을 주조하거나 단조를 하여 만들어지며 특히 작업단(Working End)은 더 높은 강도와 정밀도를 가진 금속을 이용하기도 한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