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 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56)

  • 등록 2004.04.05 00:00:00
크게보기

 I 치의학의 역사
II  구강의 구조와 기능 
III 치과질환과 치료  
IV DENTAL EQUIPMENT AND DENTAL MATERIALS 
 IV-1 치과장비 - 고통으로 부터 해방
 IV-2 치과기구 - 진보하는 치과기구
 IV-3 Dental Material - To make all materials used for treatment
V 치의학의 교육
VI  구강위생과 관리
끝맺음

 

 

IV-3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치과재료-식물성재료

 

인류의 역사가 질병, 부상과의 싸움이라고 생각할 때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그 고통을 덜어볼까하는 부단한 노력을 했을 것이며 그 물질을 자연에서 얻고자 했고 비교적 채집이 쉬운 식물성 재료에 의존한 결과 송진이나 아편 클로브오일의 식물성 추출물을 얻어 치통의 감소와 치과치료에 이용했다.


식물성 재료에 의한 치과치료의 하나는 우식에 의해 치질이 파괴된 경우 송화가루와 송진을 섞어 충전해 동통을 완화시키고 음식물이 우식 와동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고안하기도 하였다.


또한 관상용이나 가정상비약으로 기르던 양귀비는 아편(Opium)의 원료로 양귀비(Poppy)의 열매에서 추출하는 약물로 치통이나 발치에 의하거나 외상에 의해 오는극심한 동통을 완화시켜주는 강력한 진통제로 활용됐으나 습관성이 있으므로 지금은 사용이 금지됐고 우식증에 의한 치통을 감소해 주는 효과가 있는 식물성기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열대성식물인 클로브(Clove)나무에서 추출되는 기름인 Oil of Clove (Eugenol)는 치통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가진 특효약으로 알려져 19세기경에는 많은 치과의사가 이 약제를 치통의 원인이 되는 치아에 직접 도포하거나 다른 분말과 섞어서 사용했으며 이 진통효과는 “MAGIC OIL"로 광고되기 충분했다.


더구나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은 경험보다는 선입감에 의한 경우가 많으며 1846년 마취법이 개발된 이후 이 마취는 더욱 발전이 돼
 국소마취를 통하여부작용이 적고 간편한 무통치료가 가능해졌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