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54)]IV-3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치과재료-Medication

  • 등록 2004.03.29 00:00:00
크게보기

구강(口腔)으로부터의 탈출I. 치의학의 역사


I-1 고대의 치의학- 종교와 현실에서의 방황
I-2 중세의 치의학- 신은 죽었다, 그러나 치통은 남았다.
I-3 Dentistry of the Modern Age - Technical development in the fighting against disease
I-4 현대의 치의학 - 치아심기


II. 구강의 구조와 기능
III. 치과질환과 치료
III-1 치과치료와 전신질환과의 관계
III-2 Treatment of Dental disease-Sound teeth for a sound.body
IV.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V. 치의학의 교육
VI. 구강위생과 관리


끝맺음

 

 

 

Ⅳ-3.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 치과재료 - 금속재료(Metalic Material)
구강진료에 금속이 사용된 역사는 다른 재료에 비해 오래됐으며 그 사용 빈도도 많았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금(Gold)은 처음에는 순금에 가까운 것부터 시작해 금-은-동의 3원계 합금을기본으로 해 발전해 왔으며 현재에도 이 계통의 합금이 치과치료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치아수복을 위해 결손부위에 대치물을 결찰하는 방법에서 금속판을 가공해 만드는 방법을 거쳐주조 가공하는 방법으로 발달했으며 사용하는 합금도 사용 목적과 용도에 따라 개발되고 있다. 금-은-동의 3원소 귀금속게 합금과 Cobalt-Chrome을 중심으로 한 비귀금속계 합금 그리고 은-주석계합금과 수은과의 화합물인 아말감(Amalgam), 이 세종류가 치아와 치관수복에 많이 사용되는 합금이다.


금(Gold)은 치과재료중에서 고대에서 부터 충전용이나 결찰용 금실로 사용됐으며 지금도 금(金)은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과재료이고 금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불변성과 전성, 연성에 의해 조작이쉽고 치아의 형태에 따라 원하는 모습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치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합금은 금의 함유량이 60중량%이상인 것이 좋으며 이정도 함량의 금합금은 구강내에서 변색이나 부식이 없고 내식성에 저항할 수 있는 우수한 재료이다. 또한 금합금에 백금이나 이리듐 등 미량의 첨가원소를 첨가해 목적에 부합하는 성질로 변화시킨다. 즉 백금이나 동을 첨가하면 강도가 증가되고 백금은 색채를 백색화 하며 동은 황색을 증가시킨다.


금속재료는 구강내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부식성이 있어서는 안되며 강도가 낮아 교합압에 견디지못하거나 변형이 오는 재료는 사용할 수 없으며 섭취하는 음식에 들어 있을 수 있는 다른 물질과 반음해 변색되거나 변질되고 유해독소를 발생하는 재료를 선택해서는 안된다. 치과재료로서의 알루미늄판은 사용하기는 편리하나 그 강도가 약하므로 임시치관회복에 많이 쓰인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