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강 상태 및 구강보건의식 조사/구보연 (4)]구강건강 상태조사 - 치아보철실태와 치아보철 필요

  • 등록 2004.12.13 00:00:00
크게보기

 

 


1) 치아보철 실태

 


67~74세군 상악 고정성


가공의치  1개 보유자 16.32%

 

 


그림1. 65~74세군의 치아보철종별 치아보철보유자율


65~74세군에서 상악에 고정성 가공의치를 1개 보유하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16.32%이었고, 고정성 가공의치를 2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17.72%이었으며, 국소의치만 보유하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9.47%이었고, 고정성 가공의치와 국소의치를 함께 갖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6.49%이었으며, 총의치를 갖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12.28%이었다.
65~74세군에서 하악에 고정성 가공의치를 1개 보유하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16.49%이었고, 고정성 가공의치를 2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13.86%이었으며, 국소의치만 보유하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10.35%이었고, 고정성 가공의치와 국소의치를 함께 갖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8.60%이었으며, 총의치를 갖고 있는 자의 백분율은 8.60%이었다.


2) 치아보철 필요

65~74세군에서 상악에 3단위 고정성 가공의치 1개가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5.96%이었고, 4단위 이상 고정성 가공의치 혹은 국소의치가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14.21%이었으며, 다수의 보철물이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7.19%이었고, 총의치 제작이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2.28%이었다.
65~74세군에서 하악에 3단위 고정성 가공의치 1개가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8.95%이었고, 4단위 이상 고정성 가공의치 혹은 국소의치가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16.49%이었으며, 다수의 보철물이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4.56%이었고, 총의치 제작이 필요한 자의 백분율은 2.63%이었다.

※현존영구치 수-우리나라 성인들이 남아 있는 영구치는 28개 중 평균 20개 정도로 평균 8개씩 치아를 상실한 상태로 남자와 여자의 차이 및 거주지별 차이는 없었다.
 


그림2. 65~74세군의 치아보철종별 치아보철필요자율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