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센터, 좀 더 많은 배려를

2008.07.17 00:00:00

내년에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설립할 계획이 세워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복지부가 내년도 일반회계 예산과 국민건강증진기금 운용계획 편성안을 확정, 기획재정부에 제출하면서 알려졌다. 일단 이수구 집행부가 들어서자마자 정관계 요로에 요청한 사항이 받아들여진 첫 국가사업이라는 점에 의미가 크다.


이수구 협회장은 지난 5월 출범 이튿날인 2일 김성이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을 예방하고 구강보건전담부서 부활 확대 개편 등 치과계 현안 해결을 주문하면서 장애인치과병원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줄 것을 요청했었다. 이 협회장은 자신이 서울지부 회장 시절 세운 서울시립장애인치과병원의 예를 들며 전국 광역별로 장애인치과병원이 있어야 장애인들의 구강건강 관리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음을 설명했다.


당시 김성이 장관은 이 협회장의 요청사항이 복지부의 중점사업의 하나인 장애인 보건복지와 맞아떨어져 흔쾌히 이를 추진할 것을 약속했었다. 치협 집행부로서는 김 장관의 호의에 힘을 얻어 필요한 부처 실무자들을 만나 적극적으로 이 사업을 포함, 국민의 구강보건 관련 사업의 예산 확보에 노력해왔다. 그 결과가 이번 예산편성에서 장애인구강진료센터 설립목적으로 10억원을 확보한 것이다.


물론 이는 아직 미약한 액수다. 이 예산으로는 지방 한 곳의 치과대학병원에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세울 수 있을 정도다. 기존의 대학병원을 이용한다는 전제가 깔려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어쨌든 그렇게라도 시작하게 되어 다행스럽다. 이를 계기로 당국이 매년 이 사업을 늘려 전국 요처에 장애인구강진료센터가 세워진다면 매우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좀 더 바란다면 이왕 이 사업을 실시하는 데 정부가 예산할당을 보다 많이 책정 해 줬으면 하는 것이다. 서울시립장애인치과병원이 세워질 당시 대지 비용과 건물, 치과장비 등 시설일체에 든 비용은 약 40억원 가량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서울시가 매년 병원운영 예산을 책정, 지원했다. 초기에는 20억원 가량 지원했다. 그 후 병원 재정이 나아지면서 12억원, 8억원으로 순차적으로 줄어들었지만 이번 복지부에서 편성한 예산보다는 많았다.


당국이 깨달아야 하는 것은 비록 이 사업이 치과계의 요청으로 시작한 일이지만 정부가 당연히 먼저 나서서 했어야 할 일을 치과계의 요청으로 시작했을 뿐이라는 사실이다. 치과계에 득이 되고자 요청한 사업은 결코 아니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번 정부 예산편성은 처음이더라도 이 보다 컸어야 했다.
장애인에게 시급한 것은 섭생 등 건강관리일 것이다. 그러나 정작 이러한 건강관리는 구강건강관리에서부터 시작하기 마련이다. 이 점을 정부가 몰라서는 안된다. 이수구 협회장의 요청으로 시작한 이 사업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없으면 사실상 어렵다. 이 사업에 대한 정부 당국의 확고한 의지가 제대로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 대표전화 02-2024-9200 FAX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광고관리국 02-2024-9290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