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 임기 2년 이상 보장
노 대통령 장관 발탁 배경 밝혀

  • 등록 2003.03.10 00:00:00
크게보기

盧武鉉(노무현) 대통령은 복지부장관을 비롯, 장관 임기를 2년 내지 2년 반 정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또 金花中(김화중) 신임보건복지부 장관 발탁에 대한 입장을 공식적으로 피력해 관심을 끌었다. 盧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고건 신임총리가 배석한 가운데 장관 인선 배경과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역대정부에서 대통령이 장관을 너무 자주 바꿔 정책추진의 일관성이 결여됐다는 질문과 관련 盧 대통령은 “분위기 쇄신 내각인선은 앞으로 하지 않겠다. 새로운 활력과 창조적 아이디어가 지속적으로 공급돼야 하는 부처라도 2년 내지는 2년 반 정도 장관 임기는 보장돼야 한다. 참신한 아이디어보다는 지속적으로 개혁과 안정이 필요시기에 개혁을 추진해야 하는 부처라면 대통령과 임기를 같이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한다” 고 말했다. 이는 장관 임기를 어느 정도 보장하겠다는 것으로 복지부장관도 큰 과오가 없는 한 최소한 2년 이상의 장수 장관이 가능 할 수 있어 주목된다. 盧 대통령은 또 일부 부처 장관 인선과 관련, 전문성과 개혁성을 내세워 시민단체들의 문제제기가 많았다는 질의에 대해 “金花中(김화중) 장관을 말하는 것 같은 데 누구의 추천도 받지 않았다. 제가 대통령후보가 됐을 때 복지사회 정책에 관해 金 의원에게 학습을 부탁했다. 지금 어느 분이라도 본인이(김화중 장관) 수락할지 모르지만 보건복지 영역의 과제가 무엇이며 어떻게 풀어야 되는지 질문 한번 해 보라. 그리고 시민단체에서 복지부장관으로 거명한 인사와 비교해 보라. 그러면 제가 복지부장관으로 金 의원을 전부터 마음에 두고 있었던 이유를 알 것이다.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金 의원을 장관 시킨다고 딱 마음먹고 있었으며 제 아내와는 상관없다”고 밝혔다. 金 장관의 경우 지난달 26일 복지부 장관 내정사실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건강연대 등 일부 시민단체들이 이익 단체인 간협 회장 출신이며 개혁성과 전문성 부족을 내세워 반대했었다. 또 대통령 선거 기간 중 영부인 권양숙 여사의 정무 특보를 맡아 근거리 보좌를 한 이유를 들어 권여사의 입김이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구설수에 시달린 바 있다. 박동운 기자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