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신보는 신년특집호부터 김재성 원장(전남 장성·김재성치과의원)이 수집한 방대한 분량의 치과관련 우표 및 소인을 통해 치의학의 역사를 조명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치과관련 우표 등 볼거리를 제공한다.<편집자주>
I. 치의학의 역사
I-1 고대의 치의학- 종교와 현실에서의 방황
I-2 중세의 치의학- 신은 죽었다, 그러나 치통은 남았다.
I-3 Dentistry of the Modern Age - Technical development in the fighting against disease
I-4 현대의 치의학 - 치아심기
II. 구강의 구조와 기능
III. 치과질환과 치료
IV.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V. 치의학의 교육
VI. 구강위생과 관리
끝맺음
III-1. 치과치료와 전신질환과의 관계-2 Diabetes Mellitus(당뇨병)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상호관련이 있는 대사성 인자와 혈관성 인자에 의한 질환으로 그 대사 이상은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인슐린(Insulin)결핍에 의한지방질 및 단백질대사의 이상을 동반한 혈당 상승이 특징인 질환이다.
당뇨병은 다갈(多渴)에 의한 다음(多飮)과 다뇨(多尿),다식(多食)이 주된 증상이며 체중감소가 있는 병력을 가지므로 어느정도는 짐작할 수 있으며 요당의 존재와혈당검사에서의 고혈당을 인지함으로써 당뇨병이 있음을 확진한다.
당뇨병환자의 치과치료는 그 자체만으로도 환자에게 위험부담을 줄 수 있다.
치과치료는 심리적·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주게 되므로 체내에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하는 과혈당상태가 돼 당뇨성혼수(Diabetes coma)를 야기 시킬 수도 있으며 식사시간의 지연이나 그 조절이 원활하지 않아 저혈당에 이르게 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당뇨병이 있으면서도 치료를 받지않는 환자의 치료가 더욱 어렵고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내과의에게 의뢰하고 관리가 양호한 경우는 치과치료를 해도 된다.
또한 인슐린을 투여중인 환자의 치료는 치료전에 정상적인 식사를 권고하고 오전중에 약속하는 것이 좋으며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인슐린 양의 증가를 필요로 하며 적절한 항생제를 투여한다.
당뇨병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올 수 있는 급성합병증은 과혈당증과 저혈당증이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며 치료를 방치하면 당뇨성혼수(Diadetic coma)로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만성합병증으로는 구강내에서 심한치은염과 치주농양 등 만성치주질환과 궤양을 들 수 있다.
뇨당의 정도가 0.5%(+++)이상은 조절하기가 어려우므로 치과시술 전에 내과의뢰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