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정재규 협회장이 노무현 대통령에게 저소득층 노인 무료치과진료 약정서를 전달 한 이후 치협은 한달 여 동안 준비작업을 통해 최근 이 사업에 대한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보건복지부 사업인 저소득층 노인의치사업을 포함한 이 사업은 1만5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된다. 치협은 이에 각 지부마다 할당된 대상 노인 인원 수를 배정했다.
물론 이 사업에 대해 모든 회원이 찬성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무리 훌륭한 일이라도 반대할 수 있는 명분은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최근에 대구와 경북지부에서 회원 전원 참여키로 선언한 결의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했다.
양 지부는 이번 사업이 어려운 저소득층 노인을 위해 치과의사들이 봉사하겠다는 취지이고 또한 대국민에게 천명한 사업이니만큼 전 회원이 동참해 치과의사들의 봉사정신을 적극 알리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의지를 밝혔다. 양 지부가 예전부터 저소득층 노인에게 무료 의치를 장착해 오던 터라 이번 치협의 사업에 대한 의미를 쉽게 이해한 듯 하다. 물론 다른 지부들도 이같은 사업을 전개해 왔었기에 지난 지부장협의회에서도 만장일치로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보여 주기도 했었다.
중요한 것은 이 사업의 취지와 본질적인 의미를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사업을 하게 된 배경은 참여복지를 주창하고 나선 현 정권에 동참한다는 의미가 강했다. 또한 그것은 무엇보다도 의료인으로서 당연히 나서야 한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는 이미 오래전부터 각 시도 지부에서 수많은 회원들이 매년 저소득층 노인들을 위해 의치장착사업을 해 오고 있었기에 굳이 새로운 각오로 임한다기 보다 대상을 폭넓게 함으로써 그동안 언론 등을 통해 심각하게 왜곡돼 오던 치과의사 상을 재정립시키는데도 그 효과가 있다고 본 것이다.
물론 참여하는 회원들에게는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기존 5000명에 대한 부분은 복지부에서 책정된 예산을 지원 받을 수 있지만 1만여명에 대한 부분은 회원 자비로 시술해야 한다. 따라서 치협은 전 회원에게 강제로 실시하는 사업이 아닌 뜻있는 회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만을 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 경북지부에서 전 회원이 참여한다고 한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다.
이번 기회를 통해 정부의 의료인에 대한 비껴가는 시각이 사라지길 기대한다. 의료인이라면 누구나 사회에 대한 봉사와 의무를 생각하게 된다. 사회의 지도층으로서 취해야 할 자세도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그동안 일방적으로 희생만 요구해온 경향이 강하다. 함께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의료인들이 노력하고 있듯이 정부도 의료인들의 자존심을 회복시키고 합리적인 보험대책을 마련할 책임이 있다. 이번 사업을 계기로 이러한 바람이 이뤄지길 기대한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