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쟁 Q&A(51)
chin cup 치료
황충주 연세치대 교수

  • 등록 2003.08.18 00:00:00
크게보기

전치부 반대교합과 주걱턱을 주소로 13세 여자환자가 내원했는데 아래턱이 약간 나온 옆모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상악에는 A-P screw을 가진 가철성 장치와 하악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chin cup으로 1년 6개월 정도 치료하고 있습니다. 치료 초기에는 상태가 호전됐으나 몇 개월 지나지 않아 원상태로 되면서 현재는 처음 상태보다 더 좋아진 상태는 아닙니다. 보호자는 치료 전보다 안모 상태가 더 나빠졌다며 언제 치료가 끝나게 되는지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환자에 대해 어떤 대책을 세워야 하는지요? 전치부 반대 교합과 아래턱이 나온 13세 여자환자의 치료를 위해 상악에 A-P screw의 가철성 장치와 chin cup으로 치료하고 있으나 치료 결과가 좋지 않자 보호자가 불만을 나타내고 있어서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 궁금해하는 것 같습니다. 질문한 내용으로 보면 환자는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인 것 같으며 치료결과가 나쁘다면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우선돼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환자의 치료 방법과 치료시기가 적절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개인적인 차이가 있겠으나 13세 여자환자라면 영구치열이 완성이 됐고 성장이 어느 정도 많이 진행된 상태로 생각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A-P screw을 가진 가철성 장치와 chin cup으로 치료했는데 상악에 A-P screw을 가진 가철성 장치를 사용한 것은 전치부 반대교합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을 나타내며 전치부 반대교합을 가진 환자에서 상악 전치부가 하악 치아에 비해 후방에 있으나 기능을 하기 위한 보상 작용으로 상악치아가 순측 경사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A-P screw는 상악 전치부의 순측 경사를 더 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악골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chin cup을 사용했다고 했는데 chin cup이 성장을 억제 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 긍정적인 의견과 부정적인 의견이 있습니다. chin cup은 하악 성장을 억제하기보다는 성장 방향을 바꾸게 하므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 대부분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chin cup으로 하악 성장을 억제한 것으로 여겨졌던 많은 증례가 사실은 하악골을 후하방으로 회전시키므로 인해 일시적으로 턱의 돌출 정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보고되면서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사이 chin cup 장치는 active한 치료보다는 치료 결과를 유지하거나 보조하는 치료범위가 제한된 장치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chin cup 장치로 치료하기 좋은 이상적인 환자는 다음과 같이 한정하고 있습니다. 1)골격성 문제가 심각하지 않은 환자 2)짧은 안면 고경을 가진 환자 3)정상이거나 전돌 된 하악 전치를 가진 환자 연령적으로 13세이고 옆모습 자체가 턱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면 성장이 많이 진행된 상태이고 골격성을 가진 경우이기 때문에 chin cup 장치는 위와 같은 이유로 적절한 장치로 생각되지 않으며 치료시기 또한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술자는 환자의 실질적인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성장에 대한 고려없이 치료 시기나 치료방법 자체를 선택해 환자의 예후가 나빠진 것으로 여겨지며 지금과 같은 장치로는 좋은 예후를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의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가지고 치료 전과 지금의 상태를 비교해 현재 어느 부위가 문제가 되어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계속 교정 치료하는 것이 유리한지 아니면 성장이 끝난 후 수술하는 것이 좋을지 여부를 판단해야 할 것입니다. 만약 수술 가능성이 있다면 성장이 완전히 끝나고 치료 할 수 있도록 교정치료계획을 세워 보호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