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신보는 신년특집호부터 김재성 원장(전남 장성·김재성치과의원)이 수집한 방대한 분량의 치과관련 우표 및 소인을 통해 치의학의 역사를 조명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치과관련 우표 등 볼거리를 제공한다.<편집자주>
I 치의학의 역사
II 구강의 구조와 기능
III 치과질환과 치료
III-1 General Disease and the Relation to Dental Treatment
III-2 치과질환의 치료-건강한 몸을 위해 건강한 치아를
IV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V 치의학의 교육
VI 구강위생과 관리
끝맺음
III-1 치과치료와 전신질환과의 관계-7 Cancer(악성신생물)
암(Cancer)은 한자로는 암(癌)이라 쓰이지만 암(바위岩)와 같이 단단하다는 뜻이고 서양에서는 카르키노스 또는 카르키노마라 부르는데 이는 게를 의미하는 단어로 암조직의 겉모양은 게 껍질 모양으로 울퉁불퉁하며 게처럼 옆으로 번져가기 성질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Cancer’ 역시 게를 나타내는 별자리에서 따온 단어로 그 본질에 대해 정확히 말할 수는 없지만 ‘세포의 변이’로 설명하는데 인체내의 비정상적인 세포의 분열과 증식에 의한 것이다.
금세기에 와서 우리 인간이 죽는 가장 큰 원인은 이 암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체 사망자의 25%가 이 암에 의한것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그 중 구강암은 전체 암의 3~5%를 차지한다.
구강암의 전구증상은 오래 지속되는 궤양이나 흰색무늬형태의 반점 그리고 다른 조직의 비정상적인 증식이나 작은 자극에도 출혈이 있으며 쉽게 지혈되지 않고 움푹 파인 형태 등으로 나타난다.
암의 진단과 예후를 추정키 위해서는 촉진과 시진에 의한 검사와 방사선촬영 적외선 검진이 있으며 특히 암의 진단과 치료에는 조직검사(Biopsy) 가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의심이 가는 조직을 제거하거나 일부를 떼어내어 현미경에 의한 생검을 시행한다.
구강암은 구강영역이기 때문에 눈으로 볼 수 있고 만질 수도 있기 때문에 쉽게 발견 할 수 있으며 수술 또한 다른 장기에 비해 쉽게 접근이 가능해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지면 쉽게 완치가 된다.
암의 치료에는 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화학요법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을 하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들 3가지를 적절히 조합해 치료를 한다.
구강암을 비롯한 모든 암은 조기진단이 중요하며 이 암환자의 치과치료는 전신적 치료와 병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