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치의학의 역사
II 구강의 구조와 기능
III 치과질환과 치료
III-1 General Disease and the Relation to Dental Treatment
III-2 치과질환의 치료-건강한 몸을 위해 건강한 치아를
IV 치과장비와 치과재료
V 치의학의 교육
VI 구강위생과 관리
끝맺음
III-1 치과치료와 전신질환과의 관계-10 Smoking(흡연) 치의신보는 신년특집호부터 김재성 원장(전남 장성·김재성치과의원)이 수집한 방대한 분량의 치과관련 우표 및 소인을 통해 치의학의 역사를 조명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치과관련 우표 등 볼거리를 제공한다.<편집자주>
신대륙과의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유럽으로 전파돼 세계 모든 지역으로 유행처럼 번진 흡연은 아메리카 원주민에게는 종교적인 행위이었으나 근대에 와서는 상용의 습관성 기호품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 그 흡연에 의한 인체의 폐해와 습관성이 밝혀지면서 이제는 죽음의 연기로 불리운다
흡연의 습관이 전신질환은 아니지만 흡연에 의해 관상동맥에 손상을 주고 협심증과 심장마비를 가져 올 수 있으며 혈압이 상승하고 폐가 나빠지며 생식기에도 영향을 미처 발기부전과 정력이 감퇴하는등 여러가지 악영향을 주게 되고, 폐암의 원인에서 90%, 허혈성 심질환의 25%가 흡연 때문이다.
이 뿐만 아니라 흡연에 의한 인체의 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 구강영역에서는구강암과 후두암을 가져 오기도 하고 치아표면에에 타르가 침착하여 치아를 변색시키고 숨쉴때 마다 담배냄새가 나서 주위의 사람에게 불괘감을 주게 되고 노화가 빨라지며 후각이 무디어 진다.
또한 발치후 발치창의 치유를 늦게 하고 발치 직후의 흡연은 구강안에 음압을 형성하여 발치와 주위의 모세혈관으로 부터 과도한 출혈을 야기하기도 한다.
흡연의 폐해는 끽연자만 아니라 주위에도 큰 피해를 주게 되므로 현재는 마약으로 규정해 금연을유도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담배규제기본협약을 발표하고 ‘담배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하고 청소년에게 담배를 판매할 수 없으며 담배갑 포장면적에서 30% 이상의 크기를 흡연에 의한 폐해 메시지와 담배에 함유된 성분을 표시하도록 의무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