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 담론, 권력, 주체<13>
푸코는 또한 권력을 국가와 연계시켜서만 다루는 기존의 입장을 비판하고, 권력을 보다 일반화된 시각으로 바라보려 한다.
그러기에 여기에서 강조하려는 것은 권력관계라는 것이 국가기굴는 테두리를 벗어나 분석되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 첫째로, 국가기구가 비록 전지전능한 권력을 갖기는 하지만 그것이 실제로 행사되는 모든 권력의 영역에서는 세심한 부분에까지 권력의 작동 방식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둘째로, 국가라는 권력기구는 이미 추상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는 권력관계를 통하지 않고서는 자신의 권력의 효과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국가는 일련의 권력관계의 그물망 위에 존재하는 상부구조이며, 실제로 인간의 육체를 규정하고 성이나 가족관계, 인척관계, 지식 그리고 기술 따위를 규제하는 것은 사회 전체에 퍼져 있는 섬세한 권력의 그물망일 뿐입니다.
‘대담’
푸코의 작업은 한 마디로 담론(지식)과 권력의 연계에 관한 것이다.
권력은 지식을 필요로 하고 지식은 권력을 필요로 한다.
권력은 스스로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지식을 필요로 하고, 지식은 스스로의 존립을 위해 권력을 필요로 한다.
푸코는 특히 19세기에 생겨난 지식들(우생학, 정신병리학, 형법학, 인구학 등등)은 바로 부르주아 사회가 훈육을 위해 만들어낸 담론적 장치들이라고 해석한다. 때문에 푸코의 사유는 흔히 ‘지식-권력’이라는 말로 압축되어 이해된다.
분명 명제의 수준에, 담론의 내부에 위치할 경우, 진과 위 사이의 분할은 자의적이지도, 제도적이지도, 수정 가능하지도, 폭력적이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인식론적 층위에 위치할 경우, 우리의 담론들을 통해 우리 역사의 많은 세기들을 통과해 온 이 진리에의 의지는 무엇이었던가 그리고 여전히 무엇인가, 또는 그 매우 일반적인 형태에서 이 지식에의 의지를 지배하는 분할의 유형은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을 제기한다면, 우리에게 나타나는 것은 배제의 체계와 같은 무엇(역사적인, 수정 가능한, 제도적으로 강제적인 체계)이리라.
‘감시와 처벌’
어떠한 사회에서도 사회적 육체를 구성하고 특성화하는 다양한 권력관계가 존재하는바, 이러한 권력관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담론의 생산과 유통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권력관계를 구축하는 전(眞)의 담론이 생산되지 않고서는 어떠한 권력의 행사도 불가능하기 때문에다.
즉 우리는 권력을 통해서 진리가가 생산되는 메커니즘을 빠져나올 수 없으며, 역으로 진리가의 생산 없이는 어떠한 권력도 행사될 수 없는 것이다.
‘감시와 처벌’
이러한 사유는 『성의 역사 1: 지식에의 의지』(1976)로 넘어간다.
푸코는 이 책에서 성을 지식화하려는 ‘진리에의 의지’를 다루었으며, 정신분석학을 비판적으로 다루었다.
일반적으로 허용된 억압이나 우리가 알고 있다고 추정하는 것에 맞서는 무지로부터보다는 오히려 지식을 생산하고 담론을 증가시키며 쾌락을 유도하고 권력을 발생시키는 그 적극적인 메커니즘들로부터 출발하여, 그들의 출현과 작용의 조건에 주의를 기울이고, 그들에 연결되어 있는 금지나 은폐의 진상이 그들과 관련하여 어떻게 할당되었는지를 따져보아야 한다.
요컨대 이러한 지식에의 의지에 내재하는 권력의 전략들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문제이다.
‘지식에의 의지’
<1207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