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치과 교정 분쟁 Q&A(57)/황충주 연세치대 교수

  • 등록 2003.09.29 00:00:00
크게보기

발치 후 공간부족


Q)

 상하악 전치부의 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한 여자 환자를 치료하고 있습니다. 상하악 소구치를 발치하고 고정성 장치로 치료하고 있는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치료한지 1년이 지난 지금 crowding이 아직 남았는데 발치 공간이 다 없어져서 치아를 배열할 공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약간의 crowding이 전치부에 남을 것 같아 얘기했더니 환자는 처음에 그런 얘기를 들은 적이 없다며 강한 불만과 배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A)
A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해 발치해 crowding을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발치공간으로 치아가 이동됐지만 치료과정에서 crowding이 남게 되자 환자는 이에 대한 배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이유는 환자의 진단이 잘못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진단이란 여러 자료를 이용해 환자의 정확한 상태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를 기본으로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치료가 잘 되기 위해서는 치료계획을 잘 세워야 되는데 그것의 기본은 진단을 잘 해야 되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습니다. 진단을 하고 치료계획을 세워 나가는 과정에서 꼭 결정해야 할 것은 환자의 공간 분석, 고정원 형태구분, 성장 평가와 안모의 평가입니다.


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 발치로 치료하기로 했다면 얼마만큼의 공간이 crowding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지 여부를 치료하기 전부터 진단과정에서 미리 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좌우측 소구치를 발치하게 되면 발치로 인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한 악에서 소구치의 두개의 크기인 14∼15mm 정도 됩니다. crowding을 해결하기 위해 발치한 경우 이 공간을 다 사용하면 crowding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대로 발치 공간으로 전치부가 후방으로 다 이동돼 crowding이 해결되면 좋겠으나 뉴톤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전치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치부와 전치부를 연결하면 전치부는 후방으로 이동되지만 구치부도 전방으로 이동되게 됩니다. 그래서 발치공간의 1/3은 고정원이 있더라도 통상적으로 상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9∼10mm를 사용 가능한 공간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본 경우와 같이 발치를 했으나 공간이 모자르게 되는 경우는 고정원을 생각하지 않고 치아이동을 하였기 때문으로 생각이 듭니다.


고정원이란 원치 않는 치아이동에 대한 저항원을 말하며 치아이동시에는 항상 이동할 부위와 이동하지 않아야 될 부위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정원은 maximam, moderate와 minimam 고정원으로 구분하게 되는데 어떤 고정원 형태를 유지 할 것인지는 환자에 따라 달라지므로 진단과정에서 구분하고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maximam 고정원이 요구되는 발치하는 경우에서 통상적인 transpalatatal arch와 lingual arch 등은 기본이며 제 2대구치까지 고정원에 포함시키고 악외 장치인 headgear등이 고정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요사이 많이 사용되는 mini screw나 plate 등을 이용하면 좀더 쉽게 고정원을 확보하고 보강할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 환자의 상태가 hyperdivergent type의 얼굴형태를 가진 경우 고정원 상실이 잘 되는 경우이므로 고정원의 형태를 정할 때는 특히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현재 환자는 crowding을 해소하기 위해 발치를 했는데 공간이 부족하다고 하여 crowding이 있는 상태로 치료를 끝내기에는 환자가 만족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공간이 모자른다고 하여 제2소구치를 더 이상 발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후방으로의 구치부 이동이나 전치부의 전방이동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전치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치료는 간단해지나 입술이 나올 수 있으므로 안모상태 등을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후방으로 구치부의 이동을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