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37)

  • 등록 2003.11.10 00:00:00
크게보기


III-2. 치과질환의 치료-건강한 몸을 위해 건강한 치아를-치아우식증 4

 


치아우식증은 유치의 경우 더욱 많이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치아의 형태와 부적절한 구강상태,당분의 과다섭취 등이 원인으로 여겨지며 조기치료로 그 진행을 억제하여 다음에 나오는 영구치가 바르게 나오게하는 길잡이 역할과 정상적인 성장과 발육을 통해 균형잡힌 안모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검진 즉 3개월 간격으로 구강검진 및 치료를 받아야한다.


치아우식의 진행은 범랑질에서는 표면의 강도가 높아 쉽게 발생하기 어려우나 이 표면만 지나면 나타나는 상아질에서는 상아세관이라는 미세한 관으로 이뤄져 있고 그 강도도 낮아 진행이 빨라져 하방과 좌우로 급속히 진행되므로 육안으로 보았을때 치이표면인 범랑질에서는 아주 작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피리밋 형식으로 넓고 광범위하게 이환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초기의 범랑질에 이환된 치아우식증이나 중기로 접어들어 상아질까지 진행된 상태의 경우일지라도 그 진행되고 탈회된 정도에 따라 이환되고 결손된 부위를 제거하고 치수를 보호하는 약제를 도포한 후 인공대치물을 사용하여 충전함으로써 치료를 마무리 할 수 있다.


중세이후부터 우식부위의 충전물은 금이 가장 많이 이용됐으며 1812년 불(美, Marcas Bull)이 충전용 금(Gold)을 고안한 이후 대부분 금에 의한 충전을 시행하여 현저한 발달이 이뤄졌다.
우식으로 결손된 부위를 회복할때 금과 아말감을 비롯해 치아와 색도가 유사한 레진계통이나 그외의 여러 재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우식의 부위와 크기를 중심으로 해 기능과 심미적인 면을 고려해 충전해야 한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