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산업화 이전시기에는 전체 인구의 60%이상이 농촌지역에 거주함에 따라 인구 및 경제활동이 지역적으로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됐다.
그러나 도시인구의 비중이 증가됨에 따라 인구의 지역적 분포에 있어 편중현상이 심화됐다. 현재 전국토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총인구의 47.2%가 거주하고 있으며, 경제활동이 집중돼 과밀에 따른 비효율이 심각하고, 지방은 생활여건 취약이 이슈화되고 있다.
산업경제 활동의 대부분이 수도권과 동남권 등 일부 지역에 집중돼 왔기 때문에 최근들어 나타나고 있는 제조업의 지방분산에도 불구하고 여타지역은 규모의 경제를 갖춘 집적경제기반이 미흡하다. 또한 전통산업의 정체, 디지털혁명의 도래 등에 따라 첨단 및 IT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수도권과 타 지역간 격차가 앞으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수도권의 각종 경제비중은 약 6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도권과 타 지역간 불균형의 심화로 인해 교통혼잡, 과밀, 환경오염 등 사회비용이 증가해 국가 발전에 막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국가 안보적 측면에서도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그동안의 정치적인 동서간의 지역감정문제가 경제적인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지역감정유발로 나타나고 있다.
이제 농어촌에서는 어린아이의 울음소리 듣기가 어려워지고 60대 노인이 청년소리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는 새로운 학교를 신설하느라 난리지만 농어촌학교는 통·폐합에 몸살을 앓고 있다. 20~30대 청년실업자는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기업들은 해외로 빠져나가기 바쁘고, 해외자본은 국내투자들을 꺼리고 있다.
한국경제는 일본 등 선진국과 중국 등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의 위협속에 간신히 연명하고 있는 처지이다. 오늘날 한국경제는 정부주도의 성장제일주의 발전전략에 따른 각종 불균형으로 인한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인 것이다. 세계경제의 자유화와 동북아 성장시대를 맞이해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개발전략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정부에서는 국민들에게 현 상황을 충분히 알려서 이해와 설득을 구해 다시 한번 한국 경제를 일으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많은 일자리의 창출과 균형발전을 도모해야만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국가발전이 이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