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 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46)

  • 등록 2004.01.26 00:00:00
크게보기

 


III-2. 치과질환의 치료-건강한 몸을 위해 건강한 치아를-방사선의 이용


렌트겐의 ‘새로운 발견’이후 방사선은 많은 연구와 활용으로 끝없는 발전을 해 특히 의학분야에서는 아주 유용한 진단 및 치료장비가 됐으며 우리 치과영역에서도 치아와 그 지지구조의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후 예후를 판단하는데도 커다란 도움을 주는 장비이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구내 방사선사진촬영은 입안에 들어가는 작은 필름을 구강내에 위치시켜 촬영하는 술식으로 치아와 치아주위조직을 자세히 평가하기 위한 촬영법이며 여기에는 치근단 촬영, 교익촬영, 교합촬영 등이 있다.


또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촬영 및 두부규격 방사선 사진촬영 또한 치과영역에서 많이 시행되는 촬영법으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은 윗턱, 아래턱 및 안면의 구조물들을 하나의 연속된 상으로 나타내어 한 장의 필름상에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사진이며 두부규격 방사선사진은 머리얼굴 부위를 규격화하여 촬영하는 방법으로 치아교정시에 윗턱, 아래턱이나 치아의 돌출 정도, 윗턱, 아래턱의 성장 양상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근래에 개발된 전산화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은 두경부에 병변이 있는 경우 병변의 위치와 크기 확인, 병변의 특성을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진단뿐 아니라 수술 계획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최근에는 인공치아 매식(임플란트)에서 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매식부위의 정확한 평가와 시술에 이용되고 있으며 매복치나 과잉치의 3차원적 위치관계의 파악과 치근의 발육정도 및 인접한 치근의 흡수여부를 평가하는데 이용되며 더불어 많은 사람이 이 방사선 촬영에 의한 위험을 호소하는데 적절한 방호에 따라 진단목적으로 촬영하는 것은 무시해도 될만한 조사량이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