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성 원장의 우표로 본 치의학 (47)I 치의학의 역사

  • 등록 2004.02.02 00:00:00
크게보기

II 구강의 구조와 기능 
III 치과질환과 치료


IV  DENTAL EQUIPMENT AND DENTAL MATERIALS 
   IV-1 Dental Equipment - Freedom from fear
   IV-2 치과기구 - 점차 진보하는 치과기구
   IV-3 치과재료 - 모든 물질을 치과치료를 위하여


V   치의학의 교육
VI  구강위생과 관리  


끝맺음IV-1 치과장비와 치과재료-치과용 의자 (Dental chair & Dental unit)

 

초기의 치과용 의자는 술자들이 서서 진료를 하도록 만들어 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지금은 치과의사를 비롯한 술자나 진료보조인력이 앉아서 진료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이 의자의 기본적인 조건은 안전하고 회전이 가능한 받침부가 이를 지지해야 하고 의자를 수평한 위치로 하여 한쪽 끝에 무거운 하중을 가했을때도 의자는 한쪽으로 넘어지지 않을 안전성이 있는 하부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 외에도 등을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등받이와 팔걸이, 발 받침대, 쉽게 입안을 헹굴 수 있는 물과 타구통, 구강을 깊은 곳 구석구석까지 쉽게 볼 수 있는 무영등이 부착돼야 한다.
근래에 시판되는 치과용 의자는 편리성만이 아니라 그 기능에 있어서도 컴퓨터와 연결된 디지털영상을 비롯해 광섬유을 장착한 고속 핸드피스나 레이저 등을 장착해 성공적인 진료에 이바지 하고 있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 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대표전화 : 02-2024-9200 | FAX :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 광고관리국 02-2024-9290 |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