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 5월 16일(일) 9:00∼10:30
●장소 : 서울교육문화회관 거문고홀 C
●좌장 : 배광식 교수 / 서울치대 보존과
근관치료학 분야에서 근래 수술용 현미경을 이용한 치근단 수술 및 NITi file 등 많은 새로운 기구 및 재료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 Torabinejad에 의해 치근단 역충전재로 소개된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는 많은 연구들을 통해 근관치료시 적용되는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MTA는 tricalcium silicate, Tricalcium Oxide, dicalcium silicate, Bismuth oxide, calcium sulphate 등이 주성분이며 수산화칼슘과 비슷한 pH를 가지며, 수분과 함께 경화되는 성질이 있으며, Portland cement와 유사한 성분과 모양을 가지고 있다.
MTA는 Dye penetration, Bacterial penetration, Fluid transport, SEM 등의 여러 방법의 밀폐에 관한 실험을 통해 Amalgam, IRM, SuperEBA보다 우수한 sealing ability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로 인해 처음 치근단 수술 시 역충전재료로 소개됐다.
본 강좌에서는 MTA가 재료적 특성과 생체적합력 그리고, 동물 실험 뿐 아니라 실제 임상에서의 다양한 적용법과 그 결과에 관한 임상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생체적합력에 관해서는 많은 동물실험에서 치근 주위조직과 접하여 있는 경우 염증세포들, 치주인대 조직과 cementum의 재생에 관한 조직학적 소견과 사람의 치주인대세포, 조골세포 및 cemetoblast의 MTA에 대한 조직친화력과 cell growth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다른 재료인 SuperEBA나 IRM, Amalgam 등에서는 볼 수 없는 MTA를 사용한 경우 관찰할 수 있는 cementum 재생과 그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4. MTA를 치근단 수술시 역충전 재료로 사용할 경우 재료혼합 및 충전하는 방법에 관해 소개하고, 동물실험에서의 조직학적인 결과와 실제 환자에 적용 후 치료결과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5. 특히 치료중 우발적으로 생길 수 있는 치근 천공(root perforation)에 관한 치료에서 탁월한 결과를 보이는 MTA는 치근분지부 천공일 때, 치근 strip perforation일 때, post space 형성 시 발생된 첨공일 때로 경우를 나눠 적용증, 각기 수복하는 방법, 주의사항 및 조직학적 실험 결과와 환자 치료결과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6. open apex를 가진 치아 또는 미완성 근첨을 가진 경우 Ca(OH)2를 이용한 장기적인 근첨형성술대신 MTA로 apical plug을 만들어 1회 근첨형성술(one visit apexification)에 관하여 그 방법 및 결과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7. 생활치수처치에서 치수절단이나 pulp capping시 사용법과 그 결과 및 적용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8. 그 외 Dens Evasinatus나 Dens Invaginatus와 같은 tooth anomaly인 경우, root resorption이 있는 경우, root amputation을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되는 경우를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