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태/월요칼럼]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과학을 중시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2006.02.27 00:00:00

신생산업 국가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자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는 ‘과학의 발전’밖에 없다. 과학은 언제나 정직하며 그래서 노력한 과학의 대가는 엄청난 과실(果實)을 인간에게 안겨준다. 과학은 합리적인 이유, 논리적인 전개와 명백한 표준이 되는 기준의 설정이 그 바탕이 된다. 과학과 민주주의는 어떤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과학적 사고방식을 중시하는 지도자는 합리적인 사고를 하게 되어 있고, 합리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 지도자는 민주형 지도자가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오늘 대한민국에 가장 필요한 정치지도자의 덕목은 과학의 힘을 신봉하는 합리적 사고를 핵심가치로 삼을 줄 아는 사람이어야 한다.


정치하는 사람들은 과학의 힘과 과학의 방법론에 지주된 합리적인 사고와 과학적 사고방식을 지녀야 한다. 대한민국의 오늘이 혼란스러운 가장 큰 이유가 소위 정치지도자라는 사람들이 과학적인 사고방식과 과학적인 힘을 경시하기 때문이다. 과학적인 사고방식은 곧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뜻하며, 적어도 국민을 다스리는 통치영역에 들어가려고 하는 정치인은 반드시 과학적인 사고방식에 지주된 합리적인 판단과 합리적인 사고를 정치에 투영할 수 있는 자유 민주주의자여야 한다.


역사적으로 관찰해 볼 때, 과학과 민주주의가 같은 시대에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원전 6, 7세기경에 그리스에서는 과학을 배운 사람만이 목에 힘을 주기 시작했다. 따라서 그리스에서는 과학이 민주주의와 함께 발전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과학자가 그 당시는 그리스의 리더 그룹이었음은 물론이다.


과학이나 민주주의의 공통점은 합리적이고 합당한 이유에서 시작된 사물의 진행과 엄격한 적용 기준이 유사하여 양자 모두가 진실성을 요구하는 것이 매우 근접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과학은 언제나 신비주의에 대해 도전장을 내고 대항했으며 미신이나 주술에 대해서도 항거하였고 정당하지 못하거나 온당하지 못한 종교의 간섭이나 탄압에 대해서도 저항하였다.


과학적인 사고를 충만하게 갖고 있는 정치인들은 역사적으로도 성공적인 정치인이 되었다. 예컨대 미국의 건국과 독립의 초석이 되었던 위대한 지도자인 토마스·제퍼슨은 원래가 과학자였으며, 미국의 독립선언에 참가했던 정치지도자 벤저민 프랭클린도 물리학의 선구자였다.


이토록 과학과 민주주의와의 상관관계는 민주주의의 헌법과 이념의 바탕을 이루는 힘의 원천이 ‘과학의 힘’이며, 이것이 곧 ‘과학적 사고방식’에 의한 합리적 사고의 동인(動因)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가 정치적 혼란에 사로잡힌 것도 정치하는 사람들이 과학적인 사고에 지주됨이 없이 즉흥적으로 머리를 굴리며 비합리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이다. 과학은 활기찬 논쟁을 통하여 새로운 진리와 정의를 추출해냈으며, 민주주의 또한 충분한 토론을 통하여 자유주의의 정수(精髓)를 창조해왔다고 볼 수 있다.


토론 문화라면 마치 남을 속이고 교활하게 말을 잘하는 기술을 얘기한다고 잘못 생각하는 정치인들이 많다. 토론이란 뜻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말 좀 잘한다고 말로써 교묘하게 타인을 속이며 번지르르한 언어유희를 잘하는 사람들은 가짜 토론문화에 익숙한 사이비 토론자들이다. 우리나라 정치인들 유형에는 이 범주에 속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다. 진정한 토론이란 소박하고 정직하며 합리적이어야 하고 과학적인 사고에서 발상된 순수한 언어이어야 한다.


우리 한국사회는 ‘토론문화’가 미숙하고 그다지 민주주의가 활성화되지 못한 것은 문화적으로 ‘유교권’문화의 영향을 짙게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과학적인 사고와 합리적인 사고를 하지 않고 오직 남을 곤경에 빠뜨려서 자기가 승리하려고하는 마키아벨리적 두뇌회전에 탐닉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한국 일부 정치인의 이미지는 교활과 거짓으로 포만된 사술(邪術)과 무책임 그리고 비합리로 교직(交織)되어 있다.


한국사회에서는 토론이 없고, 오직 “흥분”, “정치적 모함”, “욕설”, “삿대질”, “수적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 대표전화 02-2024-9200 FAX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광고관리국 02-2024-9290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