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태 원장의 東醫寶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 이야기 5

2009.11.12 00:00:00

이병태 원장의東醫寶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지정>이야기 5

 

이몸·잇몸은 아상(牙床)


《東醫寶鑑》에 은( ? )을 아상(牙床)이라고 하였다. 잇몸(북한은 이몸)은 순우리말이다. 이 잇몸을 牙床이라고 한 데 필자는 경탄하고 있다. 이 床이 치과영역에서는 주로 의치상(義齒床)·교정상(矯正床)·상장치(床裝齒)라던가, 임상(臨床)이나 병상(病床)처럼 쓰이고 있다. 이 床은 bed이다. 구들이 아닌 잠자리를 뜻한다. 그러나 bed나 잠자리는 아늑하고 편안(便安)해야 한다. 이(齒牙)가 편안하게 쉬는 곳이라 하여 아상(牙床)이라고 했는지, 참으로 깊이가 있고 친근감이 간다. 일본에서는 치육(齒肉)이라는 용어를 치은(齒?)보다 더 쓰고 있다. 우리들은 (齒 ?   )과 gingiva를 쓰고 있다. gingiva나 gum을 우리말로 잇몸(북한은 이몸)으로 쓰고 있지만 牙床이 더 가슴에 와닿는다. 저자는 齒科醫史學 강의를 맡으면서 이 분야에 대한 공부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던 중, 《東醫寶鑑》에 나온 이 牙床이라는 용어를 보고 놀랄 정도로 반가웠다. 그리고 구강을 옥지(玉池)라고 한 것에 대하여 아름답고 멋까지 흠뻑 배인 용어라고 단정했다. 그래서 《東醫寶鑑》강의가 진행되면 꼭 한마디를 한다.


“아, 이 얼마나 훌륭하고 낭만적이며 인간적인 용어입니까 !”

이미 세계화 되었던 <東醫寶鑑》
《東醫寶鑑》은 국내에서 꾸준히 인쇄하여 우리나라 의서(醫書)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책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외 주로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까지 영인본이나 각본 등을 내었다. 중국대륙에는 잦은 내란(內亂)으로 대부분 의서가 소실되어《東醫寶鑑》은 궁중이나 민간에까지 많이 참고하여야 했다. 1920년 이전에 간행된 중국판이 조선판보다 무려 6배나 많다. 1920년 이전에 韓中日에서《東醫寶鑑》이 간행된 상황을 알아보자.

 

국내판
1) 1611~1613년 초간본(을해자체 훈련도감 활자) / 장서각(이왕가 구장본), 국립중앙도서관, 기타 개인소장가들에게 산질(散秩).
2) 연대미상(17세기). 목판본. 영남대 박물관 소장(낱권1책).
3) 기해(1719) 중추(中秋)내의원교정 영영개간. 고대, 성대 소장.
4) 갑술(1814년: 순조14) 내의원교정 영영개간본. 소장처 미상.
4-1) 갑술(1814년: 순조14) 내의원교정 완영중간본(完營重刊本). 규장각, 정서각, 국립중앙 소장.

 

중국판
1) 1763년 벽어당(壁魚堂)초간본, 목판본. 소장처 미상.
2) 1766년 목판본 25권 25책 길림도서관.
3) 1796년 영덕당(英德堂)각본, 목판본. 흑룡강도서관 소장.
4) 1796년 강녕(江寧) 돈화당(敦化堂)각본. 북경대 도서관 소장.
5) 1796년 취성당(聚盛堂)각본, 목판본. 절강도서관 소장.
6) 1831년 자선당(資善堂)각본, 목판본. 절강도서관 소장.
7) 1831년 부춘당(富春堂)각본, 목판본. 길림도서관 소장.
8) 1885년 포방각(泡芳閣)각본, 목판본. 남경도서관 소장.
9) 1889년 소주(蘇州) 강좌서림(江左書林)번각본, 목판본. 중국의학과학원도서관 소장.
10) 1890년 강소(江蘇) 소엽산방  (   ?   葉山房)각본, 목판본. 안휘도서관 소장.
11) 1890년 주요지(朱曜之)각본, 목판본. 남경도서관, 광동중산도서관 소장. 이판본은 일본 경도서림 판본을 복각한 것이다.
12) 1890년 상해(上海) 교경산방(校經山房)석인(石印), 석판본(15권 16책) 안휘도서관, 남경도서관, 광동중산도서관, 고려대 화산문고, 고려대 화산문고 소장.
13) 1890년 상해 금장(錦章)도서국 석인, 석판본. 여승구 소장. 이 판본은 일본 경도서림 판본을 복각한 것이다.
14) 1890년 상해 천경당서국(千頃堂書局)인행, 석판본 (25권 16책). 표제《繪圖東醫寶鑑》, 내제《訂正東醫寶鑑》. 심충식 소장.
15) 1890년 상해 광익서국(廣益書局)석인, 석판본(25권 12책). 표재《增圖東醫寶鑑》. 고대화산문고 소장.
16) 1908년 상해 소엽산방( ?  葉山房 연인(鉛印)·《改良東醫寶鑑》. 광동중산도소관, 여승구 소장. 이 판본은 일본 경도 서림 판본을 다시 개량하고 신증생리해부도설(新增生理解剖圖說)을 합부하여 출판한 책이다.
17) 중화민국초(1912) 상해 금소서국(錦素書局) 석인(石印), 석판본. 길림도서관 소장.
18) 1917년 상해 광익서국(廣益書局)영인. 길림도서관 소장. 1917년판 이후에도 최근까지 10여 종이나 이 판이 나왔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





주소 서울시 성동구 광나루로 257(송정동) 대한치과의사협회 회관 3층 | 등록번호 : 서울,아52234 | 등록일자 : 2019.03.25 | 발행인 박태근 | 편집인 이석초 | 대표전화 02-2024-9200 FAX 02-468-4653 | 편집국 02-2024-9210 광고관리국 02-2024-9290 Copyright © 치의신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