信과 正이 바탕돼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정권 인수에 박차를 가하면서 보건복지 정책에 대한 변화가 어느정도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난 22일 정재규 협회장을 비롯한 의료계 단체장들이 회동하여 향후 의료정책의 변화에 공동 대처해 나갈 것을 다짐한 것은 시의적절했다고 본다.
의료계는 앞으로 벌어질 의료환경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공약 가운데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실사권 부여 등 의료계로서는 받아 들이기 어려운 첨예한 공약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치협 역시 노인틀니 급여화 등 비록 현실에 맞지 않는 공약이더라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안들이 깔려 있다.
이번 단체장들의 회동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의견을 같이 하고 서로 공조해 나가는 길만이 의료계의 권익을 지켜 나갈 수 있는 길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날 회동에서는 새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의약정협의회가 구성될 것으로 보고 위원 구성시 종전에 의사 위주의 위원들로 구성되던 것을 치과의사, 의사, 한의사 등 단체별 위원이 동수로 구성할 수 있도록 협의한 것도 좋은 선례로 남을 것이다. 과거 의약정협의회나 의료제도발전특별위원회 등의 기구에서 치과의사는 소수로 참여했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의사위주로 모든 기구가 구성되다보니 매사 되는 일도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번에 의협에서 이러한 점을 간파하고 동료 의료단체들에게 러브 콜함으로써 의료계 단체가 한목소리를 낼 수 있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하겠다.
특히 의협은 지난해 요양급여협의회위원장 자리를 두 번씩이나 치협에게 넘겨주면서 수돗물불소화사업에 대해 종전에 찬성하던 입장을 돌연 바꿔 입장보류를 함으로써 일부 극렬 시민단체들의 불소화반대운동에 기름을 붓는 역할을 해 왔었으나 이번에 다시 불소화사업 지지를 선언함으로써 치협과의 공조체제를 공고히 하려한 것은 어찌 되었던간에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수돗물불소화사업이 치과의사들을 위한 사업이 아닌 국민의 구강건강을 위한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치과계가 무슨 이권이 있는 양 비쳐진데 대해 안타까워 했으나 이번에 다시 의협에서 의견을 같이하겠다고 함으로써 일부 반대론자에게 빌미를 주지 않게 됐다.
그러나 이번 회동의 결과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의료계가 협심하여 의료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해 나가기 위해서는 양보와 타협이 절대적이다. 이견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예민한 문제라면 모를까 적어도 수돗물불소화사업 같이 해당 단체의 이익을 포기하면서까지 국민건강을 위해 추진하려는 사안에 대해서는 함께 협조해 나가야 할 것은 협조해 나가야 한다.
필요에 따라 손을 잡다가 떼는 행위는 정치권에서나 있음직한 일이다.
적어도 의료계는 직업의 순수성처럼 신의와 정직이 그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관리자
Copyright @2013 치의신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