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메데이아: 모성을 저버린 악랄한 여인인가? 정의의 집행자인가?

고대 그리스에서 의학과 철학

마지막으로 소개할 비극 여주인공은 마법을 부리는 야만족 공주 메데이아입니다. 메데이아는 남편의 배신에 분노하여 남편과 함께 낳은 자식들을 살해하는 여인으로 알려져 있죠. 이처럼 메데이아는 모성을 저버린 무자비한 여인입니다. 

메데이아 신화는 이아손의 영웅 신화와 연결된 서사입니다. 영웅 이아손을 사랑한 메데이아 공주는 이아손이 황금 양피를 구하는 모험에서 모든 것을 희생하여 이아손을 도왔습니다. 그래서 이아손은 그 성공으로 눈부신 명성을 얻었고 메데이아와 함께 자식을 낳고 살았습니다. 여기까지는 영웅과 공주의 사랑과 모험의 로맨스라 하겠죠. 그러나 이아손은 코린토스의 공주와 결혼하여 메데이아를 배신했습니다. 달콤한 로맨스가 쓰디쓴 리얼 스토리로 바뀐 것입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메데이아는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의 주인공으로 배신한 남편에 분노하여 자식들을 살해했습니다. 이러한 비극 신화 이전에 알려진 신화에서는 메데이아 자식들의 죽음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를테면 메데이아가 코린토스의 왕을 살해하자 이에 분노한 코린토스 시민들이 그녀의 자식들을 죽였다고 합니다. 또 메데이아가 마법을 부려 자식들을 불멸의 존재로 만들려 했지만 마법의 실패로 자식들을 죽이게 됩니다. 이처럼 이전 신화의 메데이아는 자식들을 직접 살해하지 않았거나 고의가 아니게 자식들을 죽였다는 것을 알 수 있죠. 따라서 에우리피데스가 고의로 자식들을 살해하여 복수하는 비극의 주인공 메데이아를 처음으로 형상화했던 것입니다.

비극 <메데이아>는 남편 이아손이 코린토스 공주와 결혼하여 메데이아를 배신한 사건으로 시작합니다. 이러한 절망적 상황에서 메데이아는 여러 장애물들을 극복하여, 마침내 복수에 성공합니다. 남편과 결혼한 공주와 그 아버지 왕을 독살하고 자식들마저 살해한 것입니다. 남편의 배신에 분노하더라도 어머니가 어떻게 자기 자식들을 살해할 수 있을까요? 어떤 경우라도 메데이아의 잔혹한 행위는 정당화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그런데 <메데이아>를 잘 읽어보면, 메데이아가 배신한 남편에게 정당하게 복수하는 과정에서 최선의 복수로 자식들을 살해했다는 놀라운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메데이아는 신성한 맹세를 위반한 이아손을 응징한 것입니다. 메데이아와 이아손은 동등하게 신들 앞에서 결혼의 맹세를 했고 이아손은 메데이아의 도움으로 성공하여 커다란 명성을 얻었습니다. 따라서 이아손의 배신은 불경죄를 저지르고 메데이아와 함께 이룬 업적을 부정한 행위입니다. 

둘째, 메데이아는 자신을 배신한 남편에게 최선의 복수를 한 것입니다. 남성 중심의 가부장 사회에서 자식들은 가부장의 정체성과 연속성을 보장하는 존재입니다. 이아손은 메데이아의 자식들과 함께 미래의 자식들, 즉 글라우케 공주가 낳을 자식들을 코린토스 왕가의 두 기둥으로 삼아 번영을 누리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따라서 메데이아의 자식 살해는 이아손에 대한 최선의 복수라 하겠습니다. 

셋째, 메데이아는 다른 선택이 없는 상황의 압박에 자식들을 살해한 것입니다. 복수에 성공한 메데이아가 자식들을 코린토스에 두고 떠난다면 왕과 공주의 독살에 분노한 코린토스의 시민들이 그녀의 자식들을 무참하게 살해할 것입니다. 물론 메데이아가 아이들을 데리고 떠날 수도 있겠죠. 그런데 아이게우스 왕과의 대화에서 엿볼 수 있듯이 메데이아는 그 가능성을 배제한 듯합니다.   

지금까지 그리스 비극의 세 여 주인공들을 살펴보았습니다. 그리스 비극에서는 국가 구성의 기본 토대가 되는 가정에서 일어나는, 남편과 아내의 갈등과 투쟁을 중요한 주제로 형상화했습니다. 아울러 가정 내에서 남편과 아내는 동등한 주체이니 서로를 존중하고 당면한 분쟁을 설득의 ‘로고스’(logos)를 통해 해결하라고 제언하는 듯합니다. 이러한 상호 인정과 설득의 로고스가 가정 내 분노와 원한을 긍정적 에너지로 전환시켜 우리 가정의 행복과 번영을 약속하지 않을까요? (참고문헌: 김기영, 『그리스 비극의 영웅 세계』, 도서출판 길, 2015) 

※ 이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김기영
서양고전학자, 현재 정암학당 연구원 및 서울대 객원연구원.
저서로는 <그리스 비극의 영웅세계>, <신화에서 비극으로: 아이스퀼로스의 오레스테이아 삼부작>, <신화의 숲에서 리더의 길을 묻다>(공저) 등, 역서로는 <오레스테이아 3부작>, <오이디푸스왕 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