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Vmall이 운영하는 보수교육 세미나 사전등록 시스템을 이용한 누적 인원이 1만5000명을 돌파했다고 최근 밝혔다. ‘온라인 학술 등록 & 치과 재료 No.1 : DVmall(www.dvmall.co.kr)’은 치과 학술대회 및 세미나 사전 등록 대행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로써 참가자는 DVmall 메인 페이지의 전용 배너를 통해 희망하는 보수교육 세미나에 손쉽게 등록할 수 있다. 반대로 주최 측은 입금 확인, 명단 관리 등 운영 절차를 효율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 특히 DVmall은 개별 학회 홈페이지를 거치지 않아도 현재 진행 중인 세미나를 한눈에 확인하고 등록까지 마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결제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어, 세미나 등록에 소요되는 절차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DVmall은 평일 오후 7시 30분까지 제품 주문 시 당일 발송하는 ‘바로바로 배송’ 서비스 등 치과 개원가의 진료 환경을 고려한 안정적 재료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DVmall 관계자는 “누적 사전등록 1만5000명 돌파는 치과계가 DVmall의 편리한 등록 시스템을 신뢰한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보수교육 등록뿐 아니라 학술 콘텐츠와 전시 연계를 아우르는 통합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덴티움이 지난 10월 23일부터 25일까지 상하이에서 열린 ‘DenTech China 2025’에서 중국 현지 허가를 완료한 bright Implant와 OSTEON™ Xeno를 공식 런칭하며 대대적인 관심을 받았다. DenTech China는 올해로 28회를 맞은 중국 최대 규모의 국제 치과 전시회로, 전 세계 30여 개국 800개 이상의 치과 관련 기업이 참가했고 약 15만 명의 방문객이 몰린 아시아 대표 플랫폼이다. 최신 치과 재료와 장비, 디지털 기술, 임상 교육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되며,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브랜드들의 주요 런칭 무대로 자리 잡고 있다. 덴티움은 이번 전시에서 ‘실사용 중심의 통합 진료와 수술’를 기조로, ‘임플란트–GBR–디지털’이 하나의 임상 플로우로 연결되는 실증형 전시를 구성했다. 이번 전시의 핵심은 bright Implant의 Short & Narrow 라인업 런칭이었다. ‘bright Implant’는 협소한 치조골 등 시술이 까다로운 부위에도 적용 가능한 Short & Narrow 콘셉트의 차세대 임플란트 시스템으로, 최소 침습 기반의 수술 구조를 통해 환자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수술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짧은 시술 시간과 간소화된 프로토콜로 내원 횟수를 줄여 치료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정확한 드릴링 가이드 시스템과 단축된 치유 기간을 통해 환자 스트레스를 현저히 낮춘다. 이러한 임상 효율성은 술자에게는 시술 편의성을, 환자에게는 빠른 회복과 경제적 부담 경감을 동시에 제공해 치과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평가받았다. 한국 시장에서 이미 높은 임상 신뢰성을 바탕으로 폭넓게 사용돼 온 bright Implant는 다양한 케이스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입증하며 술자와 환자 모두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임상적 성과를 기반으로 이번에 중국 NMPA 허가 정식 획득, 본격적인 현지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신규 중국 허가를 받은 이종골 기반 골대체재 OSTEON™ Xeno는 인체 뼈와 유사한 미세 다공성 구조를 구현해 우수한 골전도성과 안정적인 골 재생을 기대할 수 있다. 공극의 상호연결성(interconnectivity)을 통해 세포 및 혈관의 유입을 촉진하며, 체적 유지력과 핸들링 편의성까지 고려된 제품 구조를 갖췄다. 이번 OSTEON™ Xeno의 추가 허가로 덴티움 중국은 ▲합성골(OSTEON II, OSTEON 3, OSTEON 3 Collagen), ▲이종골(OSTEON Xeno), ▲흡수성 차폐막(Collagen Membrane)까지 아우르는 완전한 GBR 솔루션 라인업을 구축하게 됐다. 이는 덴티움만의 제품으로 골 결손부 복원부터 차폐막 안정화까지 전 과정의 임상 적용이 가능한 GBR 라인업을 완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부스 내, 상시 운영된 Sinus Simple 핸즈온 세션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Sinus Simple 핸즈온은 상악동 막을 천공 없이 안전하게 거상하고, 거상된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자가골이 모이게끔 고안된 DASK Simple을 직접 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현장 참가자들은 bright Implant와 DASK Simple 솔루션의 조합이 임상 안정성을 높인다는 평가를 내놓았고, 세션 이후 추가 교육 문의 및 견적 상담으로 이어졌다. 현지 바이어와 임상의들은 “짧은 수술 시간과 최소 침습을 동시에 실현한 bright Implant의 Short & Narrow 콘셉트가 인상적이었다”고 평가했으며, 런칭 직후 다수의 상담·교육·샘플 요청이 이어졌다. 덴티움 관계자는 “이번 런칭을 통해 중국 임상가에게 더 쉽고, 더 빠르고, 더 정확한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진료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현장 중심의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해 실질적인 임상가 중심의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의 논문 리뷰 프로그램 저널인사이드(Journal Inside)가 10월에도 두 편의 논문 리뷰 영상을 선보이며 호평 받고 있다. 양승민 교수(삼성서울병원 치주과)와 박진영 교수(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가 직접 연자로 참여해 임상가들이 고민하는 문제를 논문으로 풀어내 눈길을 끈다. 지난 10월 16일 업로드한 영상에서는 양승민 교수가 출연해 '즉시 식립 시 판막을 열 것인가(Flap elevation), 닫을 것인가(Flapless)'에 대해 최신 근거를 정리하고 동시에 다양한 예시로 핵심 내용을 풀어냈다. 양 교수에 따르면 Flapless 수술은 연조직 안정성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접근이지만, 협측골 결손이 있거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Flap elevation이 여전히 필요하다. 이에 따라 케이스별로 수술 환경에 맞는 전략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것이 골자다. 분석한 논문은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에 2023년에 게재된 ‘Immediate implant placement with or without flap elev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로 임플란트 식립 시 판막을 여는 수술(Flap elevation)과 Flapless 수술을 비교해 임상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10월 30일 공개한 두 번째 영상에서는 박진영 교수가 연자로 참여해 ‘3D Printing Non-metal Sleeve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와 임상적 결정 요인’을 주제로 강연했다. 해당 강연은 3D 프린팅을 통해 제작된 비금속 슬리브 가이드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임상적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박 교수가 분석한 논문은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implant positioning by guided surgery using a nonmetal sleeve template in the partially edentulous ridg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 prospective cohort’이며 연세치대 치주학교실에서 진행된 연구로 오스템의 OneGuide system을 통해 진행된 결과를 담고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오스템 원가이드 시스템을 사용해 진행했지만, 다른 디지털 가이드 시스템을 사용하는 임상가들에게도 충분히 적용 가능한 원칙들을 담고 있다”며 “3D 프린팅 기반 가이드 시스템 사용 시 정확도를 더 끌어올릴 수 있는 전략들도 함께 사용하면 보다 정확한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널인사이드의 모든 회차는 오스템TV(https://www.denall.com/program?id=54)에서 로그인 후 무료로 시청할 수 있으며, 매월 새로운 콘텐츠가 추가된다. 오스템 관계자는 "저널인사이드는 바쁜 임상 환경에서 논문을 보기 어려운 임상의들을 위해 유익한 논문만 골라 핵심 내용만 짧고 굵게 리뷰해 시청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받고 있다"며 "향후에도 치과 임상의들에게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연자들과 협업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덴티스는 지난 10월 23일부터 26일까지 중국 Shanghai World Expo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에서 열린 ‘DenTech China 2025’에 참가해 주력 제품을 홍보하며 중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였다. ‘DenTech China’는 중국 내 치과 산업을 대표하는 가장 권위 있는 전시회 중 하나로, 덴티스는 매년 꾸준히 참가하며 현지 시장과의 접점을 확대해오고 있다. 올해는 특히 소장비존을 별도로 구성해 보다 집중적인 제품 홍보를 진행하며 현장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부스 전면에는 주력 제품인 SQ 임플란트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전시했다. SQ 임플란트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허가를 취득한 이후 꾸준히 현지 시장에서 덴티스의 핵심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덴티스는 이번 전시에서 LED 장치를 활용한 시각적 연출로 브랜드 이미지를 한층 강화하며 방문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이와 함께 자외선(UV) 조사기 ‘SQUVA’, 임플란트 고정도 측정기 ‘ChecQ’, 3D 프린터 ‘ZENITH’, 포터블 골내마취기 ‘DENOPS-i’ 등 덴티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다양한 제품 솔루션을 선보이며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소개했다. 중국은 치과 의료기기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덴티스는 현지 법인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브랜드 홍보와 현지화 전략을 통해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덴티스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를 통해 덴티스의 제품 경쟁력을 현지 고객들에게 직접 선보일 수 있었다”며 “중국 치과 시장의 성장세에 발맞춰, 현지 맞춤형 전략으로 중국 시장에서의 활동 범위와 영향력을 더욱 넓혀 나가겠다”고 밝혔다.
임플란트 솔루션 전문기업 ㈜네오바이오텍(이하 네오)이 임상 효율성과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 ‘All in One Remover Kit’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 리뉴얼은 기존 Fixture Remover(FR)·Abutment Remover(AR)·Screw Remover(SR) 등 주요 구성품을 전면 재설계한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토크 대응력과 절삭력 향상은 물론, 임상가의 사용 편의성까지 대폭 높였다. 특히 FR part는 Positioner가 새롭게 추가돼 임플란트와의 정밀 체결이 가능해졌으며, ‘Power Hex/Octa’ 길이를 12mm에서 10mm로 단축해 구치부 접근성을 높였다. 커넥션부도 Round 형태로 바꿔 삽입이 수월해졌고, 내부 체결용 Screw Hole이 추가돼 시술 중 분리 문제를 최소화했다. AR part 역시 수직압 방식을 적용해 측방압으로 인한 픽스처 손상 위험을 줄였다. 이로써 파절된 어버트먼트 제거 시 안전성과 성공률이 크게 향상됐다. SR part는 Helix Flute 구조와 개선된 선단각 디자인으로 절삭력을 높였으며, 형성된 홀을 활용해 저속 역회전(≤80rpm)으로도 파절 스크류를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 Driver Holder가 추가된 Guide Handle과 슬림한 Neck 디자인으로 조작성이 강화됐다. 네오바이오텍 관계자는 “리뉴얼된 All in One Remover Kit는 성능과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며 “픽스처를 비롯한 스크류, 어버트먼트 제거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여 시술 시간을 단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l in One Remover Ki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네오(1577-2885) 또는 지역 담당 영업사원에게 문의하면 된다.
전문의약품 생산 기업 제론셀베인이 코엑스 마곡에서 개최된 ‘코리아더마 2025(KOREADERMA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고 지난 3일 밝혔다. 대한피부과의사회가 주최하는 ‘코리아더마 2025’는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5000명 이상의 피부과 전문의 및 산업계 관계자들이 피부 과학의 발전과 새로운 트렌드를 공유하는 아시아 최고 수준의 피부과 심포지엄 중 하나다. 제론셀베인은 이번 학회 기간 동안 전시 부스를 운영하며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PDRN) 기반의 재생 솔루션 및 코스메틱 라인업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피부과 전문의와 바이어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호평을 받았다. 특히 제론셀베인의 독자적 특허 기술인 ‘프리즘 테크놀로지 나노 PDRN(Prism Technology Nano PDRN)’이 적용된 전문의약품 ▲셀베인주 ▲수출용 PN 힐러 ‘클레덴스’ ▲‘셀베인(Cellvane)’ 코스메틱 라인 ▲리차지 스킨 부스터 ▲하이퍼 리커버 앰플 ▲코어 리바이탈 크림 ▲바이오 앰플 마스크 ▲PDRN 리커버 랩 ▲PDRN 데일리 선크림 ▲리셋부스터 등 다양한 제품을 한자리에서 체험할 수 있는 체험존을 마련해 의료진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피부 재생·항염·피부 장벽 강화 기술을 결합한 차세대 재생 솔루션은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으며 전시 기간 동안 해외 바이어들과의 협의 및 유통 파트너십 논의가 활발히 진행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덕규 제론셀베인 대표는 “이번 ‘코리아더마 2025’는 글로벌 의료·미용 산업의 중심 무대인 만큼 제론셀베인의 기술력과 브랜드 철학을 직접 소개할 수 있어 매우 뜻 깊은 자리였다”며 “PDRN 기반 재생 솔루션은 피부 손상 회복과 항염 작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랫폼으로 이번 전시를 통해 국내외 전문가들에게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앞으로도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바이오 코스메틱 개발을 지속하며 글로벌 뷰티·메디컬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해외 파트너십을 확대해 K-더마코스메틱 시장의 선도 브랜드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덧붙였다.
치과의사가 직접 심미보철물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새로운 방식의 콘테스트가 성황리에 마쳤다. 바텍엠시스(이하 바텍)가 주최한 제5회 Perfit 지르코니아 보철콘테스트가 지난 9월 13~14일 열린 ‘GAMEX 2025’에서 개최됐다. 이번 콘테스트 예선은 치과기공과 교수진과 Perfit 연자의 심사를 바탕으로 진행됐으며, 10점의 작품이 본선에 진출했다. 이후 ‘GAMEX 2025’ 현장에서 치과의사 160여 명의 현장 투표와 치대 교수 3인 및 개원의 1인의 평가 점수를 합산해 본선 수상작이 결정됐다. 대상의 영광은 우창우 실장(기분좋은치과)에게 돌아갔다. 우 실장은 “처음 참가한 콘테스트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매우 기쁘다”며 “치과의사들이 직접 심사에 참여한 만큼 수상의 의미가 더욱 크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서 최우수상은 노준혁 실장(하늘리더스), 김성환 소장(화이트치과기공소)이 수상했으며, 우수상은 원종하 실장(서울DS플란트치과), 한진석 소장(JS치과기공소), 소도형 기사(서울대치과병원)이 수상했다. 바텍 관계자는 “Perfit ZR은 단순한 소재를 넘어 치과와 기공소 간의 협업을 통해 임상적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며 “보철콘테스트는 치과의사들이 직접 임상적 관점에서 작품을 평가함으로써, 심미성과 기능성에 대한 기준을 함께 만들어가는 자리”라고 말했다.
부채표 가송재단과 대한약학회는 최근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명예교수를, ‘제18회 윤광열 약학상’ 수상자로 권영주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를 선정했다. 윤광열 약학공로상‧약학상 시상식이 지난 10월 23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약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행사 가운데 진행됐다. 이날 제7회 윤광열 약학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된 심창구 교수는 지난 2005~2008년 대한약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한국 약학의 국제화와 학문적 성장에 크게 이바지했다. 또한 2005~2011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약사시험위원장으로 재직하며 약사 국가고시 제도 개선에 힘쓰는 등 제도적 기반을 다졌다. 제18회 윤광열 약학상 수상자인 권영주 교수는 난치성 암과 퇴행성 질환의 약물내성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제 개발 연구를 선도해 왔다. 특히 다학제적 융합 연구를 통해 유방암·대장암의 약물내성 원인을 밝혀내고, 알츠하이머병·암 전이·간섬유화 등 다양한 질환의 통합 표적을 탐색하는 등 혁신적인 성과를 거뒀다. 부채표 가송재단은 ‘기업의 이윤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철학 아래 윤광열 동화약품 회장과 부인 김순녀 여사의 사재 출연으로 2008년 4월 설립됐다. 재단은 윤광열 약학상(2008년 대한약학회 공동제정), 약학공로상(2019년 공동제정)을 비롯해 윤광열 의학상(2009년 대한의학회 공동제정), 의학공헌상(2017년 공동운영), 윤광열 치과의료봉사상(2012년 대한치과의사협회 공동제정) 등을 통해 학술연구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성실하고 우수한 대학생 인재를 선발해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이하 오스템)가 운영 중인 모든 소프트웨어 내 보험청구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오스템은 현재 개발·서비스하는 ▲두번에 ▲하나로 ▲원클릭 내 실손 보험 청구 간소화 시스템 도입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일반 병·의원까지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서비스를 확대하는 정부의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서비스 2단계'에 발맞춘 업데이트다. 실손보험 청구 간소화 서비스란 환자가 병원 진료 후, ‘실손24 앱’ 등 전송 대행 기관을 통해 청구할 진료·처방 내역을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가 의료기관 및 약국에서 환자가 가입한 보험사로 자동 전송되는 기능이다. 오스템은 치과와 고객의 편리한 보험 청구 지원을 위해 ‘라이나생명보험’과 협력해 치아보험 간소화 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해당 기능은 라이나생명 치아보험 가입자인 환자가 보험 청구를 요청할 시 치과, 환자 모두 비용 부과 없이 보험청구 간소화 서비스를 지원한다. 해당 서비스는 치아보험 청구 간소화 신청 및 가입 후 보험 청구 연동 라이나 생명 체크박스에 체크만 하면 사용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보험 가입자인 환자가 보험금 청구를 요청하면 차트 내 해당 환자를 조회한 뒤 '치아보험청구 신청 링크 전송'을 클릭해 환자의 휴대폰번호로 신청 링크를 전송한다. 이후 환자가 치과에서 발송한 신청 링크로 접속해 치아보험을 청구한다. 마지막으로 치과에서는 전자차트 내 보험청구 선택 후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진료내역, 이미지 등 치아 보험 청구에 필요한 내역을 작성 및 전송하면 끝이다. 해당 서비스 역시 ▲두번에 ▲하나로 ▲원클릭에서 모두 이용 가능하며 라이나생명치아보험 내 전체 보장 항목에 적용된다. 오스템은 보험 청구 간소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치과 임직원은 물론 환자 편의성도 크게 높아져 치과 경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보험 청구 간소화 시스템 이용 시 진료 후 보험청구 관련 업무가 전산으로 자동 처리돼 접수·수납 창구의 행정 부담이 줄고 환자의 대기시간 역시 크게 단축된다는 것이다. 보험청구 서류 비용에 대한 민원 및 발급 지연에 대한 환자와 마찰, 종이 영수증·진단서 출력 시 발생하는 소모비용, 개인정보 보관 및 폐기에 따른 비용 발생 등에서도 절감 효과를 통해 보다 스마트하고 효율적인 진료 환경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오스템 측 설명이다. 오스템 관계자는 “치아보험청구 간소화는 기존에 복잡한 절차와 종이 서류를 발급하고 처리하는 불편함을 개선한 형태로 당사에서 서비스하는 두번에/하나로/OneClick을 통해 비용 부과 없이,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며 “향후에도 다양한 보험사와 협력해 보험 청구 관련 작업을 간소화하는 등 치과와 환자 모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 덴탈 솔루션 전문기업 디오에프(DOF)가 지난 10월 25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25 DOF DAY’에서 All-on-X 보철 제작에 최적화된 밀링머신 라인업을 선보였다. 이번 행사는 전국 치과기공사 및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덴티스트리 최신 워크플로우와 실무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전시장에서는 하이엔드 메탈 밀링머신 CRAFT PRO, 티타늄 가공이 가능한 CRAFT PLUS, 업그레이드 버전인 CRAFT 2, 5축 건식 밀링머신인 CRAFT S, CRAFT DX, CRAFT DRY 등 밀링머신 전 라인업이 공개됐다. 또 구강스캐너 FREEDOM Air, FREEDOM i, 모델스캐너 FREEDOM X5, 고온 퍼니스 ZIRFIRE, WAVE SINTER 2 등 스캔부터 가공, 소결까지 아우르는 통합 디지털 워크플로우(Total Solution)가 함께 소개됐다. 강연에서는 ▲모델리스(Modeless) 워크플로우 ▲심미보철 제작 노하우 ▲All-on-X 케이스 ▲컬러링 데모 등이 다뤄졌다. 연자로는 송성윤(송덴탈랩)·지영록(좋은날 치과기공소)·최재웅(NOVA 덴탈랩)·김윤하(이플랜 치과기공소)·최문식(스마일웍스 덴탈랩) 소장이 연자로 참여해 각자의 사례과 기공 노하우를 공유했다. 현장에서는 장비 렌탈 프로모션과 경품 이벤트도 열렸다. 특히 CRAFT S, CRAFT DX의 월 렌탈 프로모션이 높은 관심을 모았으며, 추첨을 통해 ▲FREEDOM X5 ▲포세린 퍼니스 ▲워런티 연장권 등 다양한 경품이 제공됐다. DOF 관계자는 “올해 DOF DAY는 고객의 목소리를 듣고 성장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 관심과 피드백에 보답하기 위해 내년에 더욱 완성도 높은 행사로 찾아뵙겠다”며 “11월, 12월에도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