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김동주의지구촌기행]유태인 수용소 아우슈비치

인의 타고난 심성에 대해 두 가지 학설이 있다. 하나는 순자의 성악설이요 또 다른 하나는 맹자의 성선설이다. 두 학설 모두 고대동양철학의 대가들에 의해 주창됐기에 우리 같은 평범한 인간들이 그 학설에 의한 평가의 대상이 될지언정 어찌 감히 그들의 학설에 대해 논할 수 있겠냐마는 지구촌 곳곳을 돌아다니다 순자의 성악설을 뒷받침 할만한 흔적을 엿볼 수 있는 곳이 많이 남아있다.


오랜 역사 속의 얘기는 제껴 놓더라도 영상기록수단이 등장한 이후 필름을 통해 실제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곳으로 멀리 서양에서는 폴랜드의 아우슈비츠, 가깝게 아시아에서는 캄보디아의 킬링필드가 그 대표적인 곳이다. 물론 우리나라도 반세기 전에 내란을 겪었고 집안 어른들의 얘기에 의하면 다른 곳 못지 않은 끔찍한 골육상쟁을 겪었지만 6·25 한국동란은 지리적으로 지구촌의 변방에 위치했고, 시기적으로는 컬러TV, 위성중계 등의 첨단 통신과학문명이 등장하기 전 이어서인지는 몰라도, 한국전쟁이 세계역사의 한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 외에는 전쟁과정에서 우리 민족이 겪은 참혹한 과정은 세계적으로는 큰 주목을 끌지는 못했던 것 같다.


아우슈비츠 얘기를 시작하자면 유태인의 유럽 내에서의 발자취를 먼저 거론해야 할 것 같다. 2000년 전 유대왕국이 멸망해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을 떠나 유럽 각지로 흩어진 이래로 유대인들은 예수를 처형한 민족으로 기독교도인 유럽인들의 박해를 받아오며 살아 올 수밖에 없었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민족종교인 유태교의 종교생활은 보장받았지만 유럽의 오래된 도시에서는 대부분 게토(GHETTO)라는 유대인 거주지역이 형성돼 그들이 얼마나 유럽인들로부터 소외된 생활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유럽인들의 반유대감정은 셰익스피어의 소설 ‘베니스의 상인’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유럽의 역사를 통해 보면 중세초기에는 유대인들은 봉건제도의 구성원이 아니었고 유럽인들과의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어려웠기에 이들은 비교적 전직과 이주가 잦은 편이어서 상업, 수공업 등과 의사 등 전문직종에 진출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고리대금업으로 통하는 금융업에 유대인들이 많이 거론되는 것은 그들은 잦은 이주생활을 통해 재산증식 수단으로 처분이 곤란한 부동산보다는 동산을 선호할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유럽이 18세기에 들어서서 계몽운동가들을 중심으로 유대인들에 대한 차별철폐움직임이 시작되고 유대인들도 자신들의 부를 바탕으로 유럽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대등한 법적지위를 얻게 됐지만 20세기에 들어서서 독일의 히틀러에 의해 독일민족의 우수성을 내세우며 새로운 인종편견에 의한 유태인 말살정책이 끔찍한 아우슈비츠 대학살극을 연출했던 것이다.


우리한테는 아우슈비츠로 잘 알려져 있지만 아우슈비츠수용소가 있는 곳의 정확한 지명은 폴랜드의 오슈비엥침이다. 1940년 수용소의 설립당시에는 폴랜드의 정치범수용을 위해 시작됐지만 이곳이 유럽각지에서 기차노선으로 접근하기 수월하고 인구밀집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서 폴랜드 뿐만 아니라 유럽각지에서 끌려온 유태인들의 수용소로 변하게 된 것이다. 나치는 오슈비엥침의 유태인수용소가 수용인원이 넘치자 이곳에서 3km 떨어진 브제진카(독일식 표기는 비르케나우)마을에 제1수용소의 10배 크기로 제2수용소를 세우게 됐으며 우리들이 영화나 전쟁기록영화 등을 통해 보아온 아우슈비츠수용소는 바로 브제진카의 제2수용소의 모습이다.


아우슈비츠 제1수용소의 정문 앞에 있는 안내소에서 소련군이 아우슈비츠를 점령할 당시에 촬영한, 영화감독에 의해서 연출된 장면이 아닌 생생한 기록영화를 보면 ‘쉰들러리스트’, ‘피아니스트’ 등 나치의 유태인학살을 그린 영화를 볼 때와 다른 것은 컬러화면과 흑백화면의 차이일 뿐인데 새삼 나치의 잔혹한 면과 유태인의 비참한 모습이 비로소 현실로 비쳐지게 된다.


“일하면 자유가 된다.”(Arbeit macht frei)란 기만적인 나치의 슬로건이 새겨진 정문입구를 지나면 조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