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의 상당수가 골이식재를 선택할 때 임상결과, 효능, 가격을 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의사 전문 커뮤니티 모어덴이 국내 치과의사 868명을 대상으로 ‘골이식재 브랜드’ 인식도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우선 골이식재 브랜드 선택 시 중요하게 여기는 요인을 묻자, 1·2·3순위 요인에 대한 응답을 모두 합했을 때 가격(29%), 효능(27%), 임상결과(26%) 순으로 많았다. 특히 1순위 요인에 대한 응답만 봤을 때는 임상결과(49.86%), 효능(29.23%), 가격(10.32%)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아, 치과의사들이 골이식재 선택 시 임상결과를 통한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중요시 여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에 제품인지도(6%), 전문가(연자)추천(6%), 지인추천(4%), 기업인지도(2%)를 꼽은 응답도 있었다. ‘골이식재 하면 생각나는 브랜드’ 1·2·3순위에 대한 응답을 모두 합했을 때는 오스템이 26%로 가장 많았고, 이어 푸르고(25%), 가이스트리히(23%), 덴티움(17%), 리뉴메디칼(5%), 메드파크(3%) 순이었다. 가장 최근, 자주 사용한 이종골 제품을 묻는 질문에서는 THE Graft와 Bio-Oss
미국치과의사협회(ADA) 제161대 회장으로 브렛 케슬러(Brett Kessler) 신임 회장이 지난 10월 22일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ADA 대의원 총회에서 공식 취임했다. 브렛 케슬러 ADA 신임 회장은 서 임기 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할 우선 과제로 ‘웰니스(Wellness)’, ‘존중(Respect)’, ‘구강과 전신의 연결(Mouth·body connection)’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회장 선거 당시 내세운 공약이며, 2025년까지 이어갈 목표라고 밝혔다. 케슬러 회장은 자신이 술을 끊기까지의 여정을 밝히며, 금주한지도 9496일, 즉 26년이 됐다고 했다. 그는 이렇듯 웰니스에 대한 실천이 환자와 동료들에게도 긍정적인 변화를 전파하려는 사명으로 이어졌다고 했다. 케슬러 회장은 “치과의사로서 우리는 환자 돌봄을 넘어 서로를 돌아보고 돌볼 책임이 있다. 금주를 통해 나는 끈기와 회복, 중요한 것에 집중하는 법, 진정한 감사와 사랑 등을 배우고 삶의 목적을 찾았다”며 “앞으로도 세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촉매 역할을 하고, 치과의사의 삶에서 모두 실천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그는 치과의사 동료 간 서로 존중하는 문화 조성을 또 하나의 목표로
미국 메릴랜드대 치과대학에 위치한 미국 국립치과박물관(Dr. Samuel D. Harris National Museum of Dentistry)이 미국 군대에서 활약한 치과의사들의 역사를 다룬 온라인 전시회를 지난 11월부터 개막했다. 전시회는 미국 독립전쟁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미군에서 활동한 치과의사들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전시회는 미군에서 구강 건강과 치과의사들의 역할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보여준다. 독립전쟁 당시 머스킷총 사수들이 화약 포장을 뜯거나, 항해사가 돛을 조정할 때 치아를 사용하던 시절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전시에는 지난 250년 동안 미군에 복무한 치과의사들의 초상화와 이들의 업적에 대한 설명이 포함됐다. 가령 미국 독립전쟁 당시 대륙 육군으로 복무했던 찰스 윌슨 필, 조사이어 플래그, 폴 리비어 박사들은 이후 치과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812년 전쟁에 참여했던 호레이스 헤이든 박사는 세계 최초의 치과 대학을 설립했으며, 메릴랜드 민병대 39연대의 병사, 보조 외과의사로도 복무했다. 또 전시에는 1901년부터 1986년까지 미군 치과 병과의 수장들이 서명한 포스터,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전사한 치과의사의 초상화도 전시된다.
사과나무의료재단이 고양시 및 경기북부 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한 치매 예방 숲 치유 프로그램인 ‘경로당 마을숲 친구들’ 사업에 선정됐다. ‘경로당 마을숲 친구들’ 프로그램은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치매 예방에 중점을 둔 혁신적인 숲 치유 활동으로, 고령층이 생활권에 있는 마을 숲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과 노인들이 마을 숲에서 숲길 걷기, 숲 명상, 신체 측정 등의 활동을 통해 치유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구성됐으며, 경로당이 치매 예방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활동가도 양성한다. 현재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고령화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 예방에 기여하고자 추진하고 있다. 사과나무의료재단은 2025년 3월부터 10월까지 약 8개월 동안 2만여 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숲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각 경로당은 8회에 걸쳐 주 2회씩 활동에 참여하며, 프로그램 종료 후 활동가로 선정된 노인들이 경로당 숲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320명의 활동가가 양성돼 경로당에서 자발적인 숲 활동을 지속할 계획으로 지역사회 내 치매 예방과 노년층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사과나무의료재단은 “
박영석 교수(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구강해부학교실)가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신임 원장으로 선출됐다.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은 지난 11월 28일 제36대 대학원장 후보 선거를 진행했다. 이번 대학원장 선거는 지난 11월 20일까지 입후보자로 등록한 박영석 교수, 설양조 교수(치주과학교실), 이승표 교수(구강해부학교실)(이상 가나다순) 등 3파전 양상이 됐다. 이후 일주일간 입후보자들의 정책 소견 발표, 정책 평가 등이 있었고, 이어 재직 중인 전체 전임 교수들의 참여로 치러진 1차·2차 투표 결과 박영석 교수가 최종 선출됐다. 박영석 교수는 오는 12월 28일부터 향후 2년간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장 임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박영석 교수는 1997년 서울치대를 졸업한 후 2010년부터 서울대 교수로 재직,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무부·기획부·학생부 원장, 미래치의학센터장, 융합치의학과장 등 다수의 직책을 역임했다. 지난 2014년에는 대한치의학회 학술상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치협이 ㈜아이오바이오와 함께 의료 정보 관리 수준 향상에 적극 힘쓸 방침이다. 치협과 아이오바이오는 ‘보건의료데이터 및 치과의료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협약’을 지난 11월 28일 치협회관 4층 대회의실에서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의료 정보 관리 수준을 향상하고, 이를 통해 환자 안전과 치과 진료 연속성 보장키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또 상호 협력으로 공동의 발전을 도모하고, 장기 협력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양측의 구체적인 협력 분야로는 ▲치과 영역의 보건의료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한 기술 개발 ▲요양병원 환자 등 거동이 불편한 환자 진료나 의과 의료진과의 진료 협력 등을 목적으로 하는 확장된 치과 진료 모델 개발 ▲인구 집단에 대한 구강 건강 상태를 기반으로 근거 기반 치의학 연구 활성화 방안 마련 ▲치과 데이터 분석·활용 방법 개발(치과치료 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치) 등이다. 이날 박태근 협회장, 윤홍철 아이오바이오 대표이사는 협약서에 서명하고 교환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 밖에 이날 자리에는 홍수연 부회장, 강정훈 총무이사, 송종운 치무이사, 신승모 재무이사 등이 참석했다. 박태근 협회장은 “그야말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보건의료데이터가 대단히 중요한 자
대한치주과학회가 지난 10월 31일부터 11월 3일까지 미국 샌디에고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제110차 미국치주학회(AAP) 학술대회에 참석했다. 대한치주과학회는 미국치주학회 회장단과의 리더십 미팅을 통해 양국 간의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 미국 측에서는 Stephen Meraw AAP 회장, Mia Geisinger 차기회장 및 David Okano 직전 회장 등 주요 임원이 참석했으며, 대한치주과학회(KAP)에서는 계승범 회장과 윤정호 국제이사, 차재국 섭외실행이사가 참석했다. 오태주 교수(미시건 치과대학 치주과)도 자문역할로 참석해 그 의미를 더했다. 양국 치주학회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이번 회의에서 Meraw 회장은 대한치주과학회와의 긴밀한 협력과 치주분야 글로벌 리더십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2025년 10월 15일부터 18일까지 토론토에서 개최 예정인 제111차 AAP 학술대회에 대한치주과학회 회원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해 줄 것을 희망했다. 계승범 KAP 회장은 대학치주과학회의 현황을 자세히 설명했으며, 양 학회 간의 리더십 교류를 위한 제안과 향후 학술대회 프로그램에 연자를 추천하는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함께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가 아시아 무대에서 한국 구강안면통증·측두하악장애학의 우수성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학회는 지난 11월 2·3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개최된 제22차 아시아구강안면통증·측두하악장애학회(이하 AAOT) 학술대회에 참석해 아시아 각국의 관련 분야 학자들과의 학술, 인적 교류를 나눴다. AAOT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구강안면통증 및 측두하하악장애 관련 학회로 매년 개최된다. 올해는 한국을 포함해 대만·일본·인도네시아·필리핀·태국·말레이시아·베트남·캄보디아·싱가포르·호주 등 11개국에서 참가했다. 한국 측은 정진우 AAOT 차기회장(서울대 구강내과 교수), 안형준 한국 대표(연세대 구강내과 교수), 김연중 전임 회장(아림치과병원장) 등 총 20명이 참여해 강연·포스터 발표 등을 통해 한국의 높은 학문적 수준을 알렸다. 특히 이번 학회에서는 Chris Peck 교수가 keynote speaker로 ‘Orofacial Pain and Related Disorders, Where to Next?’를 주제로 강연해 큰 호응을 받았다. 또 이연희 교수(경희대 구강내과)가 ‘Advancing precision medicine: the role of AI in d
경희치대 치주과학교실 주최,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주관,경희치대 치주임플란트 연구회(K-PERIO) 후원으로 열린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종합학술대회’가 지난 11월 24일 경희대 청운관 지하 1층 박종기 대사홀과 청운관 2층 종합강의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3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예년과 달리 세션 1·2로 나눠 동시에 진행됐다. 세션 1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시리즈 형식으로 열렸다. 특히 주최 측이 내건 ‘STAR WORDS!’라는 구호에 걸맞게 국내 유수의 연자 진을 섭외해 ‘골이식재에 대한 모든 것’이라는 대주제로 임상가들이 관심 있을 만한 이식재를 선정해 이식재 선택과 활용 방법, 최신지견에 대해 심도있게 다루는 시간이 됐다. 세부 연제로는 ▲홍지연 교수(경희대 치주과)의 ‘골이식재 총정리’ ▲정성민 원장(덴티움치과)의 ‘Easy bone graft’ ▲김성태 교수(서울대 치주과)의 ‘Soft Tissue증대를 위한 이식재 활용’ ▲지영덕 교수(원광대 구강외과)의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골유도재생술시 조직접착제와 Titanium mesh를 사용한 골증대술’ ▲김정현 원장(e튼튼치과)의 ‘흡수성 차폐막을 활용한 GBR’ ▲이원표
코웰메디가 ‘오직 한 가지 골이식재로 할 수 있는 일 Fact or Fiction’라는 주제로 GBR 세미나를 지난 11월 23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옴니버스파크 6301호에서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개원가에서 꾸준히 호응을 얻고 있는 GBR 골이식재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룬 자리로, 개최 전부터 큰 관심을 모으며 조기 마감됐다. 이날 오후 3시부터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단일 골이식재를 활용한 다양한 임상적 접근 가능성을 탐구하는 시간을 제공했다. 강의는 전인성 원장의 오랜 노하우와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됐으며, GBR, Socket Preservation, Ridge Preservation, Arbitrary Bone Packing, Sinus Surgery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졌다. 특히, 코웰메디의 코웰BMP를 활용한 실전 임상 사례들이 공유되면서, 참가자들은 제품의 우수성을 체감했다는 후문이다. 한 참가자는 “임플란트 계에서 역사가 있는 기업이라 그런지, 제품의 차별화된 품질이 느껴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코웰메디는 향후에도 개원가와 소통을 강화하며, 의료진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세미나와 실습 프로그램을 지속적 마련할 계획이다
아름덴티스트리가 지난 11월 23~24일 부산 BEXCO에서 개최된 YESDEX 2024에 참가한 가운데 1000여 명의 참관객을 모으며 성황을 이뤘다. 아름덴티스트리는 신제품인 SD임플란트와 세멘리스 보철 옵션인 Master Fix 핸즈온 그리고 밀링장비 상담을 진행했다. 또 각 존에서 핸즈온 및 상담을 진행할 때마다 대전의 유명 빵집인 성심당의 인기 제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세멘리스 보철인 Master Fix는 2022년 YESDEX에서 첫 공개된 이후 3년 차에 접어들며 체험해보고자 하는 고객들이 대거 몰렸다. 또 지난 10월 출시한 SD 임플란트는 Simple & Digital 컨셉으로 기존 제품 대비 Wall thickness를 보강해 장기안정성에 우수한 BL System과 Digital All-On-X에 최적화된 TL System 제품이라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핸즈온 체험뿐만 아니라 브릿지, 무치악케이스 등 실제 임상 모델을 전시하며 Master Fix의 임상 적용 범위에 대한 고객들의 궁금증을 해소했다. 밀링장비존에서는 5X-300Pro를 이용해 Master Fix 지르코니아 가공을 시연했으며, 5X-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