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최근 6~7월 두 달간 비대면진료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6월 기준 총 14만 명의 환자가 15만3000건을 이용했으며, 이는 진료 건수 기준 한시적 비대면 진료(월평균 22만2404건)의 69% 수준이라고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6월 기준 총 비대면진료 건수 15만3339건 중 재진은 12만6765건(82.7%), 초진은 2만6511건(17.3%)이었다. 의원급 의료기관은 15만3221건(99.9%)이었으며, 의원급 재진 환자 중 만성질환자가 6만1514건(48.6%), 그 외 질환자가 6만5134건(51.4%)이었다. 총 건수 중 연령별 진료 건수는 60~69세가 가장 많았다. 지역별 진료 건수는 서울, 경기가 많았으며, 인구수 대비 이용 비율은 세종이 가장 높았다. 감염병예방법에 근거,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제한 없이 허용됐던 한시적 비대면진료와는 달리, 시범사업에서는 재진환자, 의료약자로 대상 환자를 제한해 이전 대비 실시 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14일 서울가든호텔에서 비대면진료 시범사업 개선 방향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에 참석한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의료접근성 제고와 국민
민원기 전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KAOMI) 회장(민치과의원)의 차남 민경환 씨가 하현희 씨와 백년가약을 맺는다. ■일시: 10월 7일(토), 오후 6시30분 ■장소: 더베일리하우스(강남구 영동대로 506) 2층 ■마음 전하실 곳: 신한은행, 110-130-255698
광주지부가 지난 7일 지부회관 2층 대강당에서 2023년 건치인(초·중학생, 모자, 어르신) 선발을 위한 최종 심사를 진행했다. 건치인 선발은 제78회 구강보건의 날을 기념해 하는 행사로, 어린이의 치아건강 관리가 평생을 좌우한다는 구강보건 교육의 일환으로 어린이와 학생, 부모들에게 구강보건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매년 실시하고 있다. 광주지부는 4월부터 시작된 광주시내 250여 개 초·중학교 출장구강검진을 통한 1차 예심을 거쳐 선발된 50여 명의 건치학생 후보 가운데 광산구치과의사회 심사위원 4명의 공정한 심사를 거쳐 초등부와 중등부로 나눠 최우수상, 우수상, 모범상 등 각각 5명을 최종 선발했다. 또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치아가 좋은 건치모자와 만 65세 이상 건치어르신도 함께 선발했다. 최우수 건치인은 치아의 예방 진료 상태, 치주 상태, 치열 상태 검진과 함께 간단한 일반 치과 상식 테스트 결과를 더해 선발했다. 박원길 광주지부장은 “최종 심사에서 혹시 탈락되더라도 오늘 여기에 참석한 것 자체가 치아관리를 아주 잘하고 있다는 증거니 더욱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져 달라고”며 “광주지부는 시민구강보건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도 시민
박태근 협회장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출판기념회를 찾아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열정 있는 정치’를 응원했다. 박 협회장은 지난 11일 국회도서관 강당에서 열린 강선우 의원의 저서 ‘엄마, 심장 따라서 가!’ 출판기념회에 참석해 강 의원에게 축하 메시지를 전달했다. 강 의원의 이번 ‘엄마, 심장 따라서 가!’에는 발달장애를 가진 딸을 키우며 사회적 편견과 차별에 맞서 싸우고, 사회 공동체의 역할과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고민해온 강 의원의 철학과 정책이 고스란히 담겼다. 특히, 책의 제목은 미국에서 교수직을 던지고 국내로 돌아와 정치의 뜻을 펼칠 결심을 딸에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어려워하고 있을 때 딸이 명쾌하게 던져 준 해답으로, 강 의원은 “발달장애가 있지만 그 누구보다 씩씩한, 종종 생각이 많은 엄마에게 더 큰 깨달음과 가르침을 주는 ‘꾀돌이’ 친구”라고 딸을 소개했다. 이화여대에서 영어교육학을 전공한 강 의원은 동대학원에서 소비자인간발달학을 공부하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인간발달 및 가족학 박사로 졸업했다. 20대 국회 비례대표를 거쳐, 21대 국회에서 강서구갑에 당선됐다. 대표 법안으로는 지난 6월 발의한 ‘장애
좁은 골폭에서 MagiCore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라이브 서저리에 많은 임상가들이 집중했다. AMII(Academy of Minimally Invasive Implantology) 임상교육원이 주최한 ‘2023 September Channel AMII Live Meeting’이 지난 2일 서울대학교치과병원 8층 대강당에서 개최됐다. 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 이번 세미나에는 300여 명의 개원의가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좁은 골폭에서 임플란트 치료 술식을 비롯해 발치즉시, 보철 등 다양한 주제의 MagiCore 10년 축적 임상증례들이 다뤄졌으며, Small talk 형식으로 진행된 Q&A가 참석자들에게 현장감을 배가 시켰다. 강연의 하이라이트는 이은택 원장(고구려치과)이 ‘좁은 골폭에 절대자, MagiCore’를 주제로 50분간 진행한 Live Surgery였다. 이 원장은 Simple & Easy에 더해 Fast & Safe한 최소침습적 치료의 발전된 임상 노하우를 선보여 강의 참여자들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이 밖에 김 충 원장(이안치과)과 임세호 원장(연세호치과)이 발치 후 즉시식립 증례들을 통한 Magi
유한양행이 조직이식결과기록서가 필요 없는 동종골 이식재 ‘ONEOSS(원오스)’를 개원가에 공급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원오스는 L&C Bio사가 제조하는 동결건조 동종골(FDBA)로, 의료기기로 허가 받아 조직이식결과기록서 작성의무가 없다. 이 때문에 임상가들의 사용상 편의성이 높다. 원오스는 교차감염 예방을 위한 단일 기증자별 처리과정을 준수했으며, Cortical bone과 Cancellous bone의 비율이 5:5 조합으로 골유도와 골전도에 있어 이상적인 비율을 이뤘다. 또 99% 동종골과 1% 히알루론산의 결합으로 생체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 0.3g, 0.6g 등 g단위 포장으로, cc단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넉넉한 양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원오스는 조직이식결과기록서 작성이 필요 없어 진료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특히, 골 유지능력도 탁월한 제품이다. 원오스에 대한 개원가의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소아치과학회 산하 진정법 연수원이 지난 3일 ‘진정치료 기본 다지기’를 주제로 온라인 진정법 연수회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회는 2019년에 처음 진정법 연수원이 출범한 이래 5회째 개최된 온라인 연수회로, 올해는 특히 그동안 코로나로 인해 중단됐던 술기 과정도 재개했다. 연수회는 양연미 교수(전북대)가 좌장을 맡았으며, ▲지성인 교수(단국대)가 ‘진정 전 평가와 진정약물 선택’ ▲강정민 교수(연세대)가 ‘아산화질소 진정법’ ▲신터전 교수(서울대)가 ‘기도관리 및 응급처치’를 주제로 강의했다. 올해 등록자는 총 69명으로, 열띤 강의 후에는 토론이 진행돼 참석자들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기회가 됐다. 참석자들은 연수회 교육 전 온라인을 통한 사전 교육 이수 후 본 연수회를 통해 수료증을 발급 받았다. 학회 관계자는 “향후에도 진정법과 관련한 수준 높은 강의를 기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가 지난 3일 스텝과 함께하는 OMFT(Orofacial myofunctional therapy) 강연을 진행했다. 이번 강연회는 OMFT의 이론적인 설명과 임상에서의 적용으로 세션을 나눠 진행됐다. 이론 강연은 김수환 부회장(예이랑치과교정과 광진점)이 맡아 치아의 배열 및 구강기능과 관련된 근육, 조직들에 관해 알기 쉽게 설명해줬다. 혀, 입술, 편도와 관련해 이론적인 설명뿐 아니라 진료실에서 환자에게 설명하는 노하우 등을 알려줬다. 이어 김석곤 이사(용인 더라인치과교정과)가 OMFT에 사용되는 여러 기구들과 사용법에 관해 강연했다. 근기능장치 사용법 및 OMFT가 접목된 여러 증례들을 함께 소개했다. 이번 강연은 성장기치과교정연구회 정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많은 스텝들이 참석해 진료실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노하우에 많은 호응을 보였다.
박재현 교수(애리조나치대 교정과장)가 지난 8월 2~3일까지 시카고에서 열린 ‘2023년 미국치과전문의협회 연례 정기총회’에 미국치과교정전문의협회(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ABO) 대표로 참석했다. 미국치과전문의협회는 American Dental Board of Anesthesiology, American Board of Endodontics, American Board of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등을 비롯해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로 구성돼 있으며, 정기총회 기간 동안 미국 치과 전문의 현황 및 정책 안건을 심도 있게 다뤘다. 박재현 교수는 현재 치과 교정 학회지 중 Citation index가 가장 높은 미국치과교정학회지의 Deputy Editor로 활동하고 있으며, 2024년 ABO 회장으로 취임한다. 2032년에는 전미주Angle Society의 회장으로 취임한다.
전남치대 재경동문들이 ‘나눔의 미학과 실천’이라는 기치 아래 동문인 박타대오(박정숙) 수녀 후원을 위해 그린 위에서 뭉쳤다. 제24회 용봉치인 재경동창회 골프대회가 지난 8월 27일 경기도 여주 신라CC에서 개최됐다. 이번 대회에는 전남치대·치전원 동문뿐 아니라 타 대학 출신도 함께 참여했으며, 치협 임원진, 서울지부, 경기지부 등 120명이 30개 팀을 이뤄 대회를 운영했다. 이번 골프대회는 하느님의 뜻대로 우리사회 어려운 이웃을 위해 평생을 봉사하는 삶을 살고 있는 박타대오 수녀를 후원하는 행사로, 박타대오 수녀는 ‘줄꾼이 헛디뎌 줄에 매달릴지라도 굳센 반동으로 다시 몸을 일으켜 우뚝 서듯이, 당신을 일으켜 꿋꿋하게 외길을 간다’는 마음으로 주위를 감동케 한 바 있다. 이번 대회는 전남치대 동문뿐 아니라 모든 치과의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행사로 진행해, 참가자 모두에게 공평하게 시상 및 경품 추첨행사를 진행했다. 대회 결과 신페리오 우승은 김용국 동문, 여자부 최저타는 노은영 동문, 남자부 최저타는 기세일 동창회장이 71타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경품 추첨 대상은 서울대 출신 조대윤 원장에게 돌아갔다. 기세일 전남치대 재경동창회장은 “이번 대회에 참석해
전북치대 동문들이 가을의 문턱에서 대화합의 시간을 가졌다. 전북치대 총동창회 동문 골프대회가 지난 8월 27일 전주 샹그릴라C.C.에서 성공리에 개최됐다. 이번 대회는 동문과 내외빈 85명, 총 21개 팀이 참여해 신페리오 방식으로 진행됐다. 우승의 영예는 전북지부장을 맡고 있는 승수종 동문(8기)이 안았으며, 준우승은 김인수 동문(11기)에게 돌아갔다. 메달리스트는 이동근 동문(11기), 준메달리스트는 김종배 동문(11기)이 차지했다. 또 최다 버디 서동진 동문(19기), 최다 파 김태균 동문(21기) 등 많은 동문이 역량을 뽐냈다. 정경철 재경동창회 회장(7기)은 “각지에서 모인 많은 동문을 보니 뿌듯한 마음이 든다. 앞으로 전북치대 동문회의 더 큰 발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동문 골프대회 준비에 총력을 쏟은 김인주 총동창회 준비위원장(27기)과 강건구 재경동창회 준비위원장(5기)은 “빈틈없는 대회 준비로 동문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어 기쁘고 보람차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김현철 총동창회장(9기)은 “한마음 한뜻으로 모여 동문 발전을 위하는 회원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앞으로도 동문 화합과 대학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사)서울의료봉사재단(이하 재단)이 지난 8월 21일부터 26일까지 베트남 호치민에 위치한 국립호치민대학 악안면두경부수술전문병원에서 구순구개열(Cleft Lip & Palate) 안면기형아동을 대상으로 무료수술봉사를 진행했다. 재단은 2014년부터 시작해 해마다 국립호치민대학, 베트남 국민마켓인 사이공쿱과 협력해 현지 구순구개열 아동 수술봉사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내년에는 베트남 진료 봉사 10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이번 의료봉사단 단장은 김재옥 총무이사(덴투비 대표), ‘서울스마일팀’ 수술팀장은 박영욱 교수(강릉원주치대)가 맡았다. 이 외에 김철준 공보이사, 김성곤 교수, 오지현 교수, 팽준영 교수, 권도현 교수, 황대석 교수, 김좌영 교수 등 5명의 집도의와 스탭 및 재단 임원 등 총 11명이 참여했다. 재단은 이번 봉사에서 1차 수술 위주로 22명의 안면기형을 가진 아동에게 천사의 미소를 되찾아 줬다. 의료봉사단은 방문 기간 중 현지 치과의료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펼치기도 했다. 호치민 Valang University 제2캠퍼스 강연장에서 황대석 교수(부산치대)가 ‘Delayed cleft alveolar repair using ma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