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는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IDEX 2025’에 참가해 우수한 제품 경쟁력과 독보적인 기술력을 선보였다. 특히 즉시 로딩에 최적화되고 AnyTime Loading을 실현해 주는 차세대 즉시로딩 ‘ALX’를 소개하며 현장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 베테랑 연자들을 통해 ALX 즉시 식립부터 원데이 보철까지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강연을 펼치기도 했으며 강연 후에는 ALX 핸즈온도 진행해 참관객들이 직접 제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했다. 네오에서 선보인 ALX는 시술 편의성은 물론 Narrow한 코어와 Deep thread & wide pitch를 통해 BIC(Bone to implant contact)를 극대화함으로써 즉시 로딩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에 더해 Peri-implantitis로 인한 골 손실(Bone Loss)까지 예방할 수 있도록 설계돼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ALX를 직접 체험한 한 참관객은 “ALX는 낮거나 경사진 치조골에도 식립하기 쉽도록 다양한 길이의 Gingiva collar와 Body를 갖추고 있으며, Stability Dip을 극복
디지털 덴탈 솔루션 기업 디오에프(DOF)가 차세대 구강스캐너 ‘FREEDOM Air’와 신형 밀링머신 ‘CRAFT PRO’를 앞세워 All-on-X 최적화 솔루션을 선보였다. 디오에프는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IDEX 2025에 참가했다. FREEDOM Air는 디오에프의 독자 기술로 개발된 최신 구강스캐너로, 무게 145g의 초경량 디자인과 30mm의 깊은 스캔 심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All-on-X 보철에 최적화된 ‘PIM 솔루션(Precise Implant Measurement)’이 탑재됐다. PIM은 특수 확대 렌즈를 장착한 전용 가이드를 통해 넓은 영역을 스캔하고, 구강 외 다수의 스캔 바디를 동시에 캡처할 수 있다. 또 포토그래메트리(Photogrammetry) 기반의 고정밀 스캔 기술로 데이터 왜곡 없이 뛰어난 정밀도를 제공해 보철 제작의 정확성과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인다는 설명이다. 현장에서는 구강스캐너 시연을 중심으로 한 라이브 데모존이 큰 호응을 얻었고, 입소문을 타고 부스를 찾은 임상가들로 연일 붐볐다는 후문이다. 또 신제품 메탈 밀링머신 ‘CRAFT PRO’도 함께 시연해, 구강 스캔부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보기 가능합니다. 고해상도 파일은 아래 PDF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이재윤 원장 ·신세계치과(포항) ·보존과 전문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석사 ·UCLA 치과대학 연구원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 회장
미국이나 유럽의 여러 회사에서는 온라인/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의료기관의 매출을 증가시키며, 예약된 환자가 재진 예약이나 수술을 취소시키지 않는 비법을 도입해 주겠다는 귀가 솔깃한 제안을 하면서 각 병원의 진료수익을 성장시키고 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 핵심에는 수술치료를 효과적으로 마케팅하는 방법이 들어있다. 예를 들어 Surgimate 라는 뉴욕의 한 회사 웹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1) 병원 웹사이트를 최대한 활용하라, 2) Google 선전을 이용하라, 3) 지역의 웹사이트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관리하라, 4) SNS에 적극적으로 글을 올려라, 5) 댓글을 주의 깊게 관리하라, 6) 지역 신문 방송 매체를 생각하라, 7) 입소문이 잘 나도록 관리하라 등의 조언을 하고 있다. 여기에는 “환자를 진심으로 대하라, 성실하게 수술을 준비하라”는 등의 이야기는 없다. 오직 대중에게 보이는 이미지가 가장 중요하다. 얼마 전 싱가포르에서 국제구강악안면외과학회(ICOMS)가 개최되었다. 여러 세션 중에서 청중이 몰리고 단연 주목을 받은 강연을 꼽으라면 “최소 침습 악교정수술(Minimally Invasive Ort
▶▶▶이용권 원장(청주 서울좋은치과병원 임플란트센터장)이 본지 3036호부터 치과의사의 희로애락을 담은 ‘털보의사의 치과 엿보기!’ 만화를 연재한다. 이 원장은 서울치대를 나온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로 앞서 본지에 ‘만화로 보는 항생제’를 연재한 바 있다. ■ 이미지 클릭 후 드래그하면 고해상도 보기 가능합니다.
“어느 수행자가 연꽃 향기를 맡고 있으니 천신이 내려와 ‘남이 주지도 않은 향기를 맡는 것은 향기를 훔치는 나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 수행자는 ‘꽃에 상처 주거나 꺾지도 않고 떨어져서 향기를 맡을 뿐인데 그것이 왜 훔치는 행위인가?’하고 납득하지 못했다. 그때 어떤 사람이 연뿌리를 파내어 연꽃을 손상시키자, 그는 천신에게 ‘왜 저 사람에게는 도둑이라고 하지 않느냐’라고 따졌다. 그러자 천신은 ‘나는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는 사람에게만 말한다. 늘 청정한 마음을 유지하려는 사람에게는 털끝만큼의 잘못도 구름처럼 커 보인다.’라고 말했다.” <자타카>나 <잡아함경> 등에 나오는 위 이야기는 ‘수행이 깊어질수록 계율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더없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것입니다. 새겨들어야 할 귀중한 말씀임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다른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연뿌리를 파내어 연꽃을 손상시켜버리는 사람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말해볼까 싶습니다. 수행자가 많으면, 부처가 많아지면 불국정토가 실현될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아 보입니다. 아무리 수행자가 많아도, 아무리 많은 사람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어도,
지난 2025년 5월 14일부터 17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11회 유럽치주학회(EuroPerio11)에 직접 다녀왔다. 이번 학회는 EFP(European Federation of Periodontology)에서 주최했으며, 전 세계 치주과 전문의와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인 글로벌 행사였다. ‘Periodontal health for a better life’라는 슬로건 아래, 임상 치주학뿐 아니라 연구, 교육, 공중보건 등 다양한 주제가 포괄적으로 다뤄졌다. 전 세계 90여 개국에서 7,000명이 넘는 참가자가 모였고, 130여 명의 연자가 수준 높은 강연을 진행했다. 학회 기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다학제적 접근과 환자 중심 치료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의 연관성, 디지털 기술의 임상 적용, 재생 치료와 생체재료에 대한 최신 연구들이 다채롭게 논의되었다. 특히 고령화 사회 속 치주 치료의 역할과 예방 중심의 진료 패러다임 전환이 화두로 떠올랐다. 라이브 서저리(live surgery) 세션 또한 인상 깊게 남았다. 세계적인 석학들이 실제 수술 장면을 시연하고, 고해상도 화면을 통해 수술 과정을 실시간으
이재명 정부(대선 후보 시절 공약 기준)가 제시한 치과의료 정책은 우리 치과계에 기대와 함께 적지 않은 숙제를 안겨주고 있다.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확대부터 예방 중심의 구강관리, 취약계층 접근성 강화, 그리고 의료 시스템의 공공성 제고까지, 정책의 큰 그림은 국민 구강 건강 증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이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구현되고, 지속 가능한 치과의료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우리 치과계의 능동적인 대응과 지혜로운 협력이 필수적이다. 가장 뜨거운 감자는 단연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확대다. 현행 만 65세 이상 2개까지 적용되던 것을 만 60세로 단계적으로 낮추고, 만 65세 이상은 4개까지 지원하겠다는 공약은 노년층의 구강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한치과의사협회는 이 공약을 환영하며 조속한 실현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전국 치과의사들의 지지 선언도 있었다. 임플란트 제조 산업계 역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 하지만 이 정책은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동반한다. 정부 관계자조차 “건보 재정을 고려해야 할 문제”이자 “정치적 이슈화될 것”이라고 지
최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첨단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SMC는 최근 몇 년간 공급망 및 지정학적 리스크 분산 목적으로 일본, 독일, 미국 등의 해외에 생산 공장을 설립해왔습니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대만에서 집중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유리하겠지만 지진이라든지, 중국과의 전쟁 등으로 큰 타격을 받았을 때 빠른 회복력을 위한 리스크 관리 차원이라 생각합니다. 향후 미래에 일어날 변수나 변화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 대응이죠. 미래를 준비하면서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가 변화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것이다”라는 말도 변화에 대한 적응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변화에 잘 적응하는 사람이 미래를 이끌 수 있습니다. “엔트로피 법칙” “노동의 종말” 등 많은 저서를 통하여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써왔던 “제러미 리프킨”이라는 유명한 미래학자도 그의 저서 “회복력시대”에서 효율성과 생산성의 시대로부터, 적응력과 회복력의 시대의 도래를 예고했습니다. 일례로 항상 효율성이란 잣대로, 싼 곳을 향해 제조중심을 후진국으로
솔벤텀이 혁신적 기술이 내재된 신제품으로 참관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솔벤텀은 서울지부 창립 제100주년 기념 제22회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이하 SIDEX 2025)에 지난 5월 30일부터 지난 1일까지 참여해 신제품 4종을 공개했다. 먼저 ‘Filtek™ Easy Match Universal Restorative’는 복잡한 진료 환경에서 쉐이드 선택 시 고민하는 시간을 줄여주는 시스템으로, 쉽고 빠른 색상 매칭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고 업체 측은 밝혔다. ‘Clinpro™ Clear Fluoride Treatment’는 15분의 도포 시간으로 강력한 불소 효과를 제공한다. 끈적임 없는 워터베이스 제형으로 환자 불편을 최소화한 것이 장점으로 내세웠다. ‘RelyX™ Universal Resin Cement’와 ‘Scotchbond™ Universal Plus Adhesive’는 복잡한 시멘팅 과정을 대폭 간소화시킨 제품으로, 효율성과 완성도를 동시에 높였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솔벤텀은 부스 내 핸즈온 체험존을 통해 참관객들이 직접 제품을 사용해 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솔벤텀 관계자는 “이번 SIDEX 2025는 단순한 제품 소개를 넘어 치과
치과 치료가 필요한 저소득‧중증 장애인을 위해 치과계가 미소를 나눴다. 스마일재단은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1일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특별시치과의사회 창립 100주년 기념 2025 국제종합학술대회 및 제22회 서울국제치과기자재전시회(이하 SIDEX 2025)에 참가해 ‘사랑나누기 바자회’을 열었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부터 20여 년째 이어진 사랑나누기 바자회는 저소득 중증 장애인의 치과 치료비 지원금 조성을 위한 스마일재단의 대표 상설 모금 활동 중 하나다. 치과기자재기업의 후원과 치과인의 참여로 이뤄지며, 치과계 기부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바자회에는 에프티주식회사, ㈜우성덴탈, 스카이덴트, ㈜메디클러스, ㈜베리콤, 드림메디칼, ㈜오성엠엔디, ㈜미동 등 8개 기업이 후원 물품으로 동참했다. 아울러 행사에서는 다양한 장애인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인식 개선 활동도 함께 진행됐다. 이수구 스마일재단 이사장은 “사랑나누기 바자회는 치과기자재 업체 후원 없이는 불가능한 행사”라며 “참여한 업체와 더불어 지원을 아끼지 않은 서울지부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사랑나누기 바자회는 연중 진행된다. 후원 기자재 구입 문의는 스마일재단 사무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