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용 장비, 기구, 장치 및 재료의 항목과 전문적인 용도의 연결 영문자의 사용이 없이 숫자를 통한 전문적 항목의 전달 가능 규정이 없는 국가나 지역과도 명확한 의사소통 가능 국제표준화기구/치과전문위원회(ISO/TC 106)에서 치과 용어(Dentistry - Terminology)에 대한 국제표준을 제ㆍ개정하는 소위원회(Sub-Committee, SC)는 SC 3 이다. 본 연재에서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숫자 코드화 하여 국가간의 명확하고 원활하고 의사소통의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국제표준 내용을 소개한다. 치과의료기기 분류 및 코드화에 대한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임상체계 적용대한 국제표준은 2001년 제1판으로 발행된 ‘ISO/TR 15300 Dentistry - Application of OSI clinical codification to the classification and coding of dental products’이다. <적용범위> 이 표준은 치과의료기기와 관련한 기록의 정보 교환을 위함이며, 현재 또는 미래 코드의 상호 운용 가능한 표준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치과 원장님들은 개인정보보호 자율점검, 개인정보 보호교육, 성희롱 예방교육,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아동학대 신고의무 교육 등 이름조차 익숙하지 않은 교육을 매년 1회이상 하게 되어 있습니다. 몇 년 전과 비교하면 참 귀찮은 일들이 많이 생겼습니다. 그냥 쿨하게 이런 교육 정도는 무시하시는 원장님도 계시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서는 꼭 법 때문이 아니더라도 신경을 쓰시면 좋겠습니다. 저희 덴트웹 초창기에 일어났던 일인데, 직원이 다른 치과로 이직하면서 환자 전화번호를 모두 엑셀파일에 저장해 가서 환자들에게 전부 문자를 보내 새로운 치과로 오시라고 광고를 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 이후로는 덴트웹의 경우 대량으로 환자 정보를 저장하려면 저장하는 사람의 개인 공인인증서로 서명을 해야만 전화번호 등이 저장되도록 변경하기는 하였습니다만, 기본적으로는 직원별로 권한을 다르게 계정을 생성하여 로그인 해야 하는 것을 지키지 않고, 원장님 아이디 하나로 전 직원이 덴트웹을 사용해서 생긴 일이었습니다.(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청구 프로그램 로그인 시에는 청구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직원마다 각각 계정을 생성하여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김동석 원장 ·치의학박사 ·춘천예치과 대표원장 <세상을 읽어주는 의사의 책갈피> <이짱>, <어린이 이짱>, <치과영어 A to Z>,<치과를 읽다> <성공병원의 비밀노트> 저자 우리는 자신만의 도덕적 잣대로 끊임없이 타인을 판단합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곳이 포털 상단에 위치한 ‘실검’입니다. 조회 수와 댓글이 많을수록 순위가 올라가는데 끊임없는 도덕적 판단이 댓글로 이어집니다.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일들이 많아서 그렇지만 사실 소설책에는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도덕적으로 문제가 많은 사람들이 수없이 나옵니다. 소설가이며 철학자인 밀란 쿤데라는 “소설은 도덕적 판단이 금지된 땅”이라고 했습니다. 즉, 소설을 읽을 때에는 도덕적인 판단을 하면서 읽지 말라는 것입니다. 도덕적 잣대를 갖다 대지 말고 소설속 인물들이 왜 그런 생각과 행동을 했는지 알아야 합니다. 도덕적 판단이 너무 앞서면 남에 대한 배려가 없어지고 남을 너무 쉽게 판단해버리고 맙니다. 우리는 소설을 읽고 작품의 주제와 작가의 의도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배웠습니다. 심지어 그 내용을 암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소
<The New York Times>에 오랫동안 연재되고 있는 칼럼으로 “The Ethicist”가 있습니다. 현재 뉴욕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윤리학자 콰매 앤터니 애피아가 맡은 이 칼럼은 독자가 보내는 윤리 관련 질문에 윤리학자가 답하는 방식으로 꾸려지고 있습니다. 치의신보에서 매월 1회 의료윤리 주제로 같은 형식 코너를 운영해 치과계 현안에서부터 치과 의료인이 겪는 고민까지 다뤄보려 합니다.<편집자주> 보건의료인은 유사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의무를 지니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세태를 보면 심폐소생술을 하다가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것 같고, 더구나 치과의사가 심폐소생술을 한다고 하면 사람들이 못 미더워할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심폐소생술, 의무일까요? 치과의사로서 심폐소생술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익명. 선생님께서 궁금해하신 부분은 치과의사가 심폐소생술을 해야 하는지 여부는 아닐 것 같습니다.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해야지요. 이런 상황을 피해 가시는 분을 비난할 수는 없겠지만요. 최근에는 의료기관이나 교육기관에서 소속 의료인과 학생에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따라서 치과의사와 치과대학
유난히 짜증이 솟구치는 날이 있다.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게 넘어갈 수 있는 일들도 괜히 짜증이 나고 서운하지 않아도 될 말들도 분이 나고 서럽다. 잠깐의 기다림에도 인색해지고 쉽사리 부당하다는 생각이 들면서 짜증내 하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스스로를 돌봄이 필요하다는 신호다. 비행기에 탑승할 때를 생각해보자. 이륙 전 안전에 관한 안내에 있어 처음으로 말하는 것은 “기내 압력이 상실된 경우 먼저 산소 마스크를 착용 한 다음 자녀 또는 다른 승객을 도우십시오.” 먼저 자신을 돌보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구할 수 없다. 긴급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킨 후에 다른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 환자가 밀렸다고, 직원이 불평한다고, 가족들이 서운해한다고 이런저런 책임의 굴레에서 책무만 다하며 하루하루를 살다보면 헛헛함, 덧없음, 서운함의 삼종세트를 경험하게 마련이고 그런 경험이 지속되면 나의 이타심을 발현했던 일들에 대한 보상을 갉아먹고도 남을 만큼, 사소한 일에 짜증과 분노를 내는 나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 우울은 보통 내면화된 분노라고 심리학에서 얘기하지만 외부자극에 대한 짜증으로도 표출이 된다. 솟구치는 화에 대한 통제력 감소 및 과민반응은
올해 3월 말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피카소와 큐비즘’ 이라는 이름의 전시회가 진행되었는데, 입체주의라고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거장 ‘피카소’를 중심으로 전시회가 구성되어 있다. 사물의 여러 관점을 종합하여 한 폭의 그림에 한번에 모두 담는 입체주의는 미술사에 한 획을 그었던 신(新)사조였다. 이 전시회는 그런 입체주의가 미술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그 중심에서 피카소는 어떻게 거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는지를 미술사적 관점으로 설명한다. 입체주의는 한마디로 이성의 예술이다. 입체주의는 후기 인상파 화가인 ‘폴 세잔’의 조형적 시각에 기원하는데 폴 세잔은 원형, 원통, 원추로 자연을 묘사하기에 충분하다는 대상을 단순화하는 혁명적인 통찰을 제시한다. 그에 영향을 받은 피카소와 브라크가 입체주의를 이끌었으며, 관점을 다양화하고 주관적 생각을 화폭에 담는 이른바 ‘사고예술’인 현대미술의 초석을 마련한다. 나는 그런 피카소와 그에 의한 입체주의에 두 가지 관점에서 큰 감명과 경외감을 느꼈다. 첫 번째는 진실을 인식하고자 하는 피카소의 적극적인 태도이다. 피카소의 그림은 언뜻 보기에는 해괴해 보이고 추상적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사물의 여러
대한민국 치의학 역사는 반만년의 역사만큼 세계 어떤 나라와 견주어도 절대 짧지 않고 콘텐츠 역시 풍부하다. 지면 관계상 모든 이야기를 언급할 수 없지만 치의학과 연관된 유적과 문헌 등을 통해 한국 치의학 역사를 들여다보았다. 거울을 통해 우리 자신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과거 치의학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대한민국 치과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점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된다. 선사시대 (prehistory) 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인류의 흔적은 평양시 상원군 흑우리 우문봉 남쪽 비탈에 위치한 검은 모루 동굴에 있다. 이 유적의 연대는 70만년 전 구석기로 추정되어, 남북한 통틀어 한국의 역사의 시작을 70만~100만년 전으로 올려놓았다. 평양에서 동북쪽으로 75Km떨어진 평남 덕천시 승리산 동굴에서는 최초로 인골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에서 발굴된 화석의 아래층에서는 네안데르탈인의 어금니 2개와 어깨뼈 1개가, 위층에서는 35세로 추정되는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치아 2개가 박힌 하악골이 나왔다(그림1). 이 치아들은 한민족의 시원인 사람들의 생활상과 치아질환 및 치유의 흔적도 보여준다. 고조선 (古朝鮮, Gojoseon
사건개요 상·하악 우측 사랑니(#18, #48) 발치 후 경부 부종 등 증상 발생하였고 이후 증상 악화로 상급병원에 내원함. 경부 CT 영상에서 양측 악하부 농양 소견 보여 경부 심부감염 진단하 경부농양배농술 시행 받음. 통원치료 종료되었으나 수술 부위 상처 회복을 위한 연고(contractubex gel) 바르고 있고 수술 부위의 목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운 상태로 이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 위해 의료중재원에 조정신청 하였음. 치료과정 신청인(남/30대)은 사랑니 발치를 위해 피신청인의원에 내원하여 방사선 촬영 후 #14~17, #44~47 부위 부분 치석제거 및 국소마취하에 #18 치아 단순 발치, #48 치아 외과적 발치 후 경구약제(항생제, 진통 소염제) 3일분 처방받음. 다음날 #48 치아 발치 부위 소독치료 받음. 발치 2일째 목이 붓는 증상이 더욱 악화되어 A 이비인후과의원 내원하였고 ‘경부심부감염’ 의증 진단하 상기도 증기흡입치료 받음. 같은 날 인후통(sore throat)을 주호소로 B 병원 응급실 내원하였으며, 경부 CT 영상에서 ‘좌측 악하공간의 심경부농양’ 진단하 이비인후과 입원하였으며, 다음날 치과 협진 결과 ‘양측 하악공간의 심경부
고분자계 수복재료와 시멘트 충전 시 사용 치수, 명명법, 표시사항을 숙지해야 함 세척, 소독, 멸균 100회 실시 후 부식, 성능 저하가 없어야 함 국제표준화기구/치과전문위원회(ISO/TC 106)에서 치과용 기구(dental instrument)에 대한 국제표준을 제ㆍ개정하는 분과(Sub-Committee, SC)는 SC 4이며 해당 분과 중 수기구(Hand instrument)를 담당하는 작업반(Working Group, WG)은 WG 8이다. WG 8의 의장 격인 컨비너(Convenor)는 미국의 치과의사인 Dr. Shannon Mills가 역임하고 있으며, 간사(Secretary)는 독일산업표준국(DIN)의 Dr. Keller가 수임하고 있다. 본 연재에서는 수기구 중 치과에서 충전 시 사용하는 각형 충전기구에 대한 국제표준 내용을 소개한다. 각형 충전기구에 대한 국제표준은 2017년 제1판으로 발행된 ‘ISO 19715 Dentistry - Filling instruments with contra-angle’이다. <적용범위> 이 표준은 고분자계 수복재와 시멘트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이 진(각형) 충전기구에 대한 요구사항,
이제 5월이면 30여개 나라가 참여하는 제41차 아시아태평양치과의사연맹총회(Asia-Pacific Dental Congress 2019·이하 APDC 2019)가 서울의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1955년에 발족한 아시아 태평양 치과연맹은 현재 27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단체는 치의학의 발달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연구를 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 인구의 구강보건 향상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해왔다. 우리나라는 1958년에 개회된 제2회 마닐라 대회부터 참여하여 정식 회원국이 되었으며 1968년에는 제5회 아시아·태평양 치과회의를 서울에서 개최(우표1)하였고 이어서 1989년에는 제14회 총회(우표2)를 서울 무역센터에서 개최하였다. 그 외에도 우리나라에서 개회된 치과회의는 1997년에 개최된 제85차 세계치과의사연맹 서울총회(F.D.I 우표3)로 이런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체신부 혹은 정보통신부에서 기념우표를 발행하여 세계와 전 국민에게 치과의사의 위상을 홍보를 하였으며 구강보건 향상에도 도움을 주었다. 세계적으로도 자국의 국민의 구강보건향상과 치과의료기술의 향상을 알리기 위해 국가나 인접 지역간의 치과회의가 있으며 이를 홍보하기 위해 많은 우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