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1.6℃
  • 맑음강릉 21.1℃
  • 박무서울 22.4℃
  • 박무대전 21.6℃
  • 구름많음대구 24.8℃
  • 구름많음울산 23.7℃
  • 광주 22.8℃
  • 박무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2.7℃
  • 흐림제주 24.7℃
  • 맑음강화 21.1℃
  • 맑음보은 21.4℃
  • 맑음금산 21.8℃
  • 구름많음강진군 23.2℃
  • 구름많음경주시 23.7℃
  • 흐림거제 22.0℃
기상청 제공
기사검색

<종교칼럼-삶>
아내는 오늘도 즐겁다
<이정우 목사·기쁨의 교회 담임목사>

나는 참 복이 많은 사람이다. 헤아려보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 중에서 아내를 만난 것처럼 감사한 것도 없다. 요즘 들어 ‘내가 장가는 참 잘 들었다’는 생각을 자주 하곤 한다. 팔불출이 되더라도 아내 자랑을 좀 해야겠다. 아내를 만난 것은 고등학교 중퇴 이후 10여 년을 계속하던 방황의 끝자락에서였다. 아내는 세상과 멀리 떨어져 살다 돌아온 실속 없는 나와 결혼했다. 그리고 재주라곤 공부밖에 없는 남편의 뒷바라지를 자청했다. 검정고시를 하고 신학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할 때까지 직장과 집을 오가며 고된 나날을 견뎌냈다. 짐은 남편만이 아니다. 결혼이후 지금까지 13년이 넘도록 시부모를 모시고, 하나도 버거운 아이를 셋씩이나 낳아서 잘도 길러내고 있다. 이쯤 얘기하면 6·25 전쟁통에 아이를 들쳐 엎고 생계전선에 나선 억척 아줌마를 떠올릴지 모르겠다. 그러나 아내의 모습은 전혀 그렇지 않다. 아담한 체구에 언제나 웃음과 생기가 넘친다. 텔레비전 광고에 ‘산소 같은 여자’가 나오던데, 아내가 그렇다. 아내가 있는 곳은 언제나 밝아지고 웃음꽃이 만발한다. 나는 이런 아내가 여간 이쁘지가 않다. 성경에, “다투는 여인과 함께 큰 집에서 사는 것보다 움막에서 혼자 사는 것이 나으니라”라는 말씀이 있는데, 무릎이라도 치고 싶다. 아내가 즐겁게 사는 이유를 눈여겨보았다. 비결이 있다. 작은 것에 감사하고 즐거움을 찾아 누리는 것이다. 아내는 말 한마디나 작은 배려에도 곧잘 기뻐하고 행복해 한다. 요즘 같이 힘들 때에도 저녁 예배 후에 30분 정도 드라이브를 같이하면 대만족이다. 탁월한 능력이 아닐 수 없다. 난 사람들에게 아내의 비결을 추천하고 싶다. 작은 것에 감사하고 즐겁게 사는 것이 능력이라고. 사실 불만 속에 사는 사람들의 주위에도 감사의 제목은 가득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불만스럽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다면,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는 삼중불구를 이겨냈던 헬렌켈러의 말을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그녀는 자기의 소망을 이렇게 말했다. “만약 내게 유일한 소망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3일 동안만 눈을 뜨고 보는 것입니다. 만약 내가 눈을 뜨고 볼 수 있다면, 나는 그 첫 순간에 나를 이만큼 가르쳐 준 나의 선생님 설리반을 찾아가겠습니다. 나를 사랑해 준 그의 얼굴을 손으로 만지면서 몇 시간이고 물끄러미 마주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나의 마음 속 깊이깊이 간직해 두고 싶습니다. 다음엔 나의 친구들을 찾아가겠습니다. 몇 시간이고 재잘대며 그들의 모습을 바라보고 싶습니다. 그 다음엔 산과 들로 산책을 가겠습니다. 바람에 나불거리는 아름다운 나무 잎사귀들, 들에 피어 있는 예쁜 꽃들과 풀들, 그리고 저녁의 석양에 빛나는 아름다운 노을을 맘껏 보고 싶습니다. 다음날 이른 새벽에는 먼동이 트는 그 웅장한 장면을 보고 싶습니다. 아침에는 메트로폴리탄에 있는 박물관에 가보고, 오후에는 미술관을 둘러보고, 그리고 저녁에는 보석 같은 밤하늘의 별들을 보면서 또 하루를 지내고 싶습니다. 마지막 날에는 일찍 큰 길가에 나가 출근하는 사람들의 얼굴 표정들을 보고, 아침에는 오페라 하우스를 둘러보고, 오후에는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감상하고 싶습니다. 그러다 어느덧 저녁이 되면 나는 건물의 숲을 이루고 있는 도시 한복판으로 나와서 네온싸인이 빛나는 거리와 쇼윈도우에 진열된 아름다운 상품들을 보면서 집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리고 눈을 감아야 할 마지막 순간에 3일 동안만이라도 볼 수 있게 해 주신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다고 기도를 드리고 싶습니다.” 헬렌켈러의 소원 중에 우리가 누리지 못하는 것이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부분을 다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다 잃은 것처럼 살아가고 있다. 내일은 아내와 충청도에 다녀올 계획이다. 그래서 아내는 오늘도 즐겁다.